요게쉬 바브 '설명은 때로 상상을 제한한다Ⅱ' (사진=국립현대미술관) [뷰어스=강소영 기자] 아시아는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우리 사회는 통념, 관념이라는 울타리 안에 갇혀있다. 아시아도 하나의 통념에 지나지 않는다는 문제를 제기한 전시가 진행중이라 눈길을 끈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는 아시아에 대한 새로운 사유를 제안하는 2018 아시아 기획전 ‘당신이 모르는 이야기’가 전시되고 있다. 아시아 전역의 젊고 도전적인 작가 15명(팀)이 모두 21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이 전시는 우리가 알던 기존의 ‘아시아’라는 사회적 관념에 통렬한 물음을 던진다. 이어 다양한 국가, 인종, 정체성 및 지리적 구분을 떠나 소통이라는 궁극적 메시지를 전달코자 한다. 국립현대미술관 박주원 학예연구사는 이번 기획전을 맡으며 아시아의 정체성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8개 국가의 유망 작가들을 일일이 접촉하고 워크샵을 가지며 전시를 완성했다. 그는 지난 6일 언론간담회에서 “어디서부터 어디까지를 아시아의 범주로 넣을지 고민했다”며 “우리가 아시아를 ‘하나의 단어’로만 규정해왔다는 것”이라는 작품들이 내포한 통찰을 강조했다. 염지혜 '미래열병' (사진=국립현대미술관) ■ 제1장 ‘보이지 않는 것들’ 제1전시실에 전시된 작품들은 ‘보이지 않는 범주의 아시아’라는 개념을 표현해냈다. 전시장에 들어서면 보이는 것은 마크 살바투스(Mark Salvatus)의 ‘대문’이라는 작품이다. 스크린에 마닐라 케손시티 지역에서 찍은 여러 대문을 모아 열린 문과 닫힌 문을 반복적으로 보여준다. 작가는 ‘대문’의 이중적 역할에 주목한다. 열리고 닫히는 문을 통해 안전함과 경계라는 양가적 관점을 이야기한다. 인도에서 활동 중인 요게쉬 바브(Yogesh Barve)의 ‘설명은 때로 상상을 제한한다Ⅱ’는 여러 색의 실타래들을 아무렇게나 풀어놓은 듯 보인다. 이는 77개국 국기의 실을 한 올 한 올 풀어 헤친 것이다. 그렇다보니 국기의 모양은 없지만 여러 색깔이 뒤엉킨 실만 남았다. 작가는 각 나라에서 존엄의 상징이 되는 국기를 해체해 국가와 민족의 정체성 및 경계에 대해 지적한다. 실타래가 된 국기들 너머 염지혜의 ‘미래열병’이 있다. 미래를 향한 현대인들의 조급감, 위기의식을 말한다. 염지혜 작가는 “실체는 없지만 우리가 공유하고 있는 그것이 어떻게 생산되고 확산되는지, 어떻게 믿음으로 받아들이는지에 중점을 뒀다”고 말했다. 이어 “20세기 초 한국사회에서 즐비한 미래주의(Futurism) 사조와 파시즘(Fascism)이 교차됐던 지점이 현 시대적 분위기와 비슷했다”며 “‘미래열병’은 이러한 사회적 긴장 속에서 잠시 멈춰 서 ‘기술의 발전에 따라 과연 우리는 삶 속에서 어떤 행동 양식을 취해야 하는가’에 대한 물음을 던진다”고 설명했다. 후지이 히카루(Fujii Hikaru)는 세기말의 ‘일본인’을 연기하는 워크숍에 대한 기록을 작품으로 완성했다. 영상 속 이들은 제국주의시대의 일본인을 연기하라는 미션을 받은 후 재연을 한다. 이를 통해 식민주의 이후 일본 내에서 사라졌다고 믿었던 과거의 언어와 행동방식, 태도 등이 정말 과거에만 있던 것인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안유리 '불온한 별들' (사진=국립현대미술관) ■ 제2장 ‘교차적 공간’ 제2전시실은 홍콩에서 활동 중인 로랑 귀테레즈(Laurent Gutierrez)와 발레리 포르터페(Valerie Portefaix) 협업한 맵 오피스(MAP Office)의 비디오 작품 ‘가능한 아시아를 향하여’로 출발한다. 이는 아시아 지역을 바라보는 다양한 비판적 시각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 이어진 ‘불온한 별들’은 여전히 우리와 같은 말과 글을 사용하는 ‘조선족’에 관한 기록이다. 안유리 작가는 19세기 말 한반도를 떠나 세계 여러 지역으로 흩어진 조선인들의 이주 역사를 조명한다. 이주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고국과 모국 사이의 괴리감 등 영상을 통해 국가와 민족이란 무엇인지 생각하게 한다. 눈에 띄는 작품 중 하나인 장 쉬잔(Zhang Xu Zhan)의 ‘시소미’는 설치와 영상이 합쳐진 전시를 선사한다. 전시장에는 자동차 바퀴에 깔려 죽은 쥐를 형상화한 실과 함께 이를 비추는 작은 거울들이 곳곳에 설치돼 있다. 또 애니메이션 형식을 통해 대만 전통 장례 의식을 통해 본 전통과 현대의 교차점에 대한 물음을 던진다. 중국에서 왕성하게 활동 중인 타오 후이(Tao Hui)는 무대처럼 연출된 장면들을 대조한 비디오를 상영한다. ‘몸에 대해 말하기’에서는 타인이 바라보는 시선과 자신의 정체성 사이의 괴리를 보여준다. ‘더블토크’를 통해서는 K-POP을 반영했다. 죽은 아이돌이 살아 돌아오면서 그가 왜 죽었는지에 대해서만 관심을 가지는 촌극을 통해 한국사회상을 그린다. 마르타 아티엔자 ‘우리의 섬, 북위11°16' 58.4", 동경123°45' 07.0"’ (사진=국립현대박물관) ■ 제3장 ‘관계’ 제3전시실에서는 관계를 통해 서로의 문제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대만에서 활동 중인 황 포치의 ‘생산라인’ 프로젝트는 봉제공장에서 종사한 어머니에 대한 기록이자 지난 50년 동안 대만의 사회변화상을 투영했다. 작품은 옷가게에 일렬 종대한 옷을 연상시킨다. 전시장을 가로지르는 줄에는 방금 공장에서 찍어낸 듯한 똑같은 모양의 청남방이 길게 한 줄로 걸려 있다. 그 뒤로는 바지 세 개가 있다. 작가는 오래 앉아 일한 탓에 다리가 퉁퉁 부어 “코끼리 다리”라고 말하던 어머니의 말을 기억해 바지의 다리를 네 개로 만들었다고 말한다. 황 포치를 지나면 조그마한 수조를 볼 수 있다. 마르타 아티엔자(Martha Atienza)의 설치작품 ‘우리의 섬, 북위11° 16' 58.4", 동경123° 45' 07.0"’는 큰 화면을 수조처럼 누이고, 수면 아래에서 찍은 필리핀 비사야 제도의 전통 장례식 행렬 영상을 보여준다. 채도 낮은 조명과 어우러져 전시장은 마치 하나의 작은 바다같다. 차분한 분위기와는 정 반대로 영상에서는 십자가를 진 예수가 물 속을 힘겹게 걷고, 여성의 옷을 입은 남자들과 정치 구호가 쓰인 팻말을 들고 지나가는 시위대를 청부폭력단이 위협한다. 작가는 “등장인물과 연출은 필리핀 사회의 현주소를 말한다”며 “나아가 전 지구적인 해양 온난화에 따라 더 크게 노출되고 있는 필리핀 내 기후변화의 위협을 비판적으로 나타낸 것”이라고 밝혔다. 제3전시실에서 이어지는 4전시실에는 엘리아 누비스타(Elia Nurvista)가 ‘비정통 요리 연구’를 통해 전통요리 조리법과 그 안에 들어가는 각 재료들과 원산지, 어원, 단계별 조리법 등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전통문화, 고유의 정체성과 같은 주제에 대해 논의한다.   또 카마타 유스케(Kamata Yusuke)의 ‘더 하우스(The House)’ 프로젝트는 일본, 한국, 미국에서 각기 다른 시대에 존재했던 이층 목조건물 형태의 일본 가옥에 대해 다룬다. 작가는 건축을 통해 일제강점기와 제2차 세계대전을 조명함과 동시에 건축과 인간의 역사에 대한 상관관계를 탐구했다. 연구플랫폼 (사진=강소영 기자) ■ 소통의 ‘플랫폼’ 전시실과 전시실로 넘어가는 과정에는 ‘플랫폼’이 있다. 플랫폼은 두 맥락으로 나뉜다. 토론의 장인 연구 플랫폼과 쿠킹클래스, 일일마켓이 진행되는 놀이 플랫폼이다. 박 연구사는 “관람객이 참여자가 돼 논의에 관한 서로의 의견을 함께 공유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했다”며 “전시기간 중 생산되는 워크숍의 결과물과 기록물들은 전시기간부터 전시가 종료된 이후에도 독립적으로 유지되고 발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제1전시실에서 2전시실로 넘어가는 공간은 전창이 13m에 달한다. 이곳에서는 '맵오피스' 전시가 진행되는 동시에 연구플랫폼으로도 활용된다. 아카이브 영상, 도서관, 작가들의 작업에서 발췌된 창의적이고 새로운 키워드들과 만날 수 있다. 제2전시실에서 3전시실로 가는 놀이 플랫폼은 유동적 변화형태를 띈다. 전시 마지막 키워드인 ‘관계’를 직접 만들어가는 공간이다. 참여 작가가 운영하는 일일장터를 비롯해 황 포치 작가가 직접 키운 레몬으로 만든 레몬와인을 시음할 수 있다. 이밖에도 요리교실, 강연 등으로 관객과 작가를 연결하는 공유의 공간으로 작용한다. 동시대 아시아 작가들은 자신들의 작품에 인종과 세계, 관념을 담아 자신만의 ‘소(小)우주’를 연결하며 의미를 확장하고 있다. 그들이 만든 작지만 작지 않은 아시아는 어떤 의미를 내포하는지 들여다보고 사회에 만연한 통념에 대해 고찰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2018 아시아 기획전 ‘당신이 모르는 이야기’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4월 7일부터 오는 7월 8일까지 이어진다.

[지금 이 전시] 15人의 젊은 작가가 묻는다… "당신에게 아시아는 무엇입니까?"

강소영 기자 승인 2018.04.11 11:43 | 최종 수정 2136.07.20 00:00 의견 0
요게쉬 바브 '설명은 때로 상상을 제한한다Ⅱ' (사진=국립현대미술관)
요게쉬 바브 '설명은 때로 상상을 제한한다Ⅱ' (사진=국립현대미술관)

[뷰어스=강소영 기자] 아시아는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우리 사회는 통념, 관념이라는 울타리 안에 갇혀있다. 아시아도 하나의 통념에 지나지 않는다는 문제를 제기한 전시가 진행중이라 눈길을 끈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는 아시아에 대한 새로운 사유를 제안하는 2018 아시아 기획전 ‘당신이 모르는 이야기’가 전시되고 있다. 아시아 전역의 젊고 도전적인 작가 15명(팀)이 모두 21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이 전시는 우리가 알던 기존의 ‘아시아’라는 사회적 관념에 통렬한 물음을 던진다. 이어 다양한 국가, 인종, 정체성 및 지리적 구분을 떠나 소통이라는 궁극적 메시지를 전달코자 한다.

국립현대미술관 박주원 학예연구사는 이번 기획전을 맡으며 아시아의 정체성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8개 국가의 유망 작가들을 일일이 접촉하고 워크샵을 가지며 전시를 완성했다. 그는 지난 6일 언론간담회에서 “어디서부터 어디까지를 아시아의 범주로 넣을지 고민했다”며 “우리가 아시아를 ‘하나의 단어’로만 규정해왔다는 것”이라는 작품들이 내포한 통찰을 강조했다.

염지혜 '미래열병' (사진=국립현대미술관)
염지혜 '미래열병' (사진=국립현대미술관)

■ 제1장 ‘보이지 않는 것들’

제1전시실에 전시된 작품들은 ‘보이지 않는 범주의 아시아’라는 개념을 표현해냈다. 전시장에 들어서면 보이는 것은 마크 살바투스(Mark Salvatus)의 ‘대문’이라는 작품이다. 스크린에 마닐라 케손시티 지역에서 찍은 여러 대문을 모아 열린 문과 닫힌 문을 반복적으로 보여준다. 작가는 ‘대문’의 이중적 역할에 주목한다. 열리고 닫히는 문을 통해 안전함과 경계라는 양가적 관점을 이야기한다.

인도에서 활동 중인 요게쉬 바브(Yogesh Barve)의 ‘설명은 때로 상상을 제한한다Ⅱ’는 여러 색의 실타래들을 아무렇게나 풀어놓은 듯 보인다. 이는 77개국 국기의 실을 한 올 한 올 풀어 헤친 것이다. 그렇다보니 국기의 모양은 없지만 여러 색깔이 뒤엉킨 실만 남았다. 작가는 각 나라에서 존엄의 상징이 되는 국기를 해체해 국가와 민족의 정체성 및 경계에 대해 지적한다.

실타래가 된 국기들 너머 염지혜의 ‘미래열병’이 있다. 미래를 향한 현대인들의 조급감, 위기의식을 말한다. 염지혜 작가는 “실체는 없지만 우리가 공유하고 있는 그것이 어떻게 생산되고 확산되는지, 어떻게 믿음으로 받아들이는지에 중점을 뒀다”고 말했다.

이어 “20세기 초 한국사회에서 즐비한 미래주의(Futurism) 사조와 파시즘(Fascism)이 교차됐던 지점이 현 시대적 분위기와 비슷했다”며 “‘미래열병’은 이러한 사회적 긴장 속에서 잠시 멈춰 서 ‘기술의 발전에 따라 과연 우리는 삶 속에서 어떤 행동 양식을 취해야 하는가’에 대한 물음을 던진다”고 설명했다.

후지이 히카루(Fujii Hikaru)는 세기말의 ‘일본인’을 연기하는 워크숍에 대한 기록을 작품으로 완성했다. 영상 속 이들은 제국주의시대의 일본인을 연기하라는 미션을 받은 후 재연을 한다. 이를 통해 식민주의 이후 일본 내에서 사라졌다고 믿었던 과거의 언어와 행동방식, 태도 등이 정말 과거에만 있던 것인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안유리 '불온한 별들' (사진=국립현대미술관)
안유리 '불온한 별들' (사진=국립현대미술관)

■ 제2장 ‘교차적 공간’

제2전시실은 홍콩에서 활동 중인 로랑 귀테레즈(Laurent Gutierrez)와 발레리 포르터페(Valerie Portefaix) 협업한 맵 오피스(MAP Office)의 비디오 작품 ‘가능한 아시아를 향하여’로 출발한다. 이는 아시아 지역을 바라보는 다양한 비판적 시각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

이어진 ‘불온한 별들’은 여전히 우리와 같은 말과 글을 사용하는 ‘조선족’에 관한 기록이다. 안유리 작가는 19세기 말 한반도를 떠나 세계 여러 지역으로 흩어진 조선인들의 이주 역사를 조명한다. 이주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고국과 모국 사이의 괴리감 등 영상을 통해 국가와 민족이란 무엇인지 생각하게 한다.

눈에 띄는 작품 중 하나인 장 쉬잔(Zhang Xu Zhan)의 ‘시소미’는 설치와 영상이 합쳐진 전시를 선사한다. 전시장에는 자동차 바퀴에 깔려 죽은 쥐를 형상화한 실과 함께 이를 비추는 작은 거울들이 곳곳에 설치돼 있다. 또 애니메이션 형식을 통해 대만 전통 장례 의식을 통해 본 전통과 현대의 교차점에 대한 물음을 던진다.

중국에서 왕성하게 활동 중인 타오 후이(Tao Hui)는 무대처럼 연출된 장면들을 대조한 비디오를 상영한다. ‘몸에 대해 말하기’에서는 타인이 바라보는 시선과 자신의 정체성 사이의 괴리를 보여준다. ‘더블토크’를 통해서는 K-POP을 반영했다. 죽은 아이돌이 살아 돌아오면서 그가 왜 죽었는지에 대해서만 관심을 가지는 촌극을 통해 한국사회상을 그린다.

마르타 아티엔자  ‘우리의 섬, 북위11°16' 58.4
마르타 아티엔자 ‘우리의 섬, 북위11°16' 58.4", 동경123°45' 07.0"’ (사진=국립현대박물관)

■ 제3장 ‘관계’

제3전시실에서는 관계를 통해 서로의 문제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대만에서 활동 중인 황 포치의 ‘생산라인’ 프로젝트는 봉제공장에서 종사한 어머니에 대한 기록이자 지난 50년 동안 대만의 사회변화상을 투영했다. 작품은 옷가게에 일렬 종대한 옷을 연상시킨다. 전시장을 가로지르는 줄에는 방금 공장에서 찍어낸 듯한 똑같은 모양의 청남방이 길게 한 줄로 걸려 있다. 그 뒤로는 바지 세 개가 있다. 작가는 오래 앉아 일한 탓에 다리가 퉁퉁 부어 “코끼리 다리”라고 말하던 어머니의 말을 기억해 바지의 다리를 네 개로 만들었다고 말한다.

황 포치를 지나면 조그마한 수조를 볼 수 있다. 마르타 아티엔자(Martha Atienza)의 설치작품 ‘우리의 섬, 북위11° 16' 58.4", 동경123° 45' 07.0"’는 큰 화면을 수조처럼 누이고, 수면 아래에서 찍은 필리핀 비사야 제도의 전통 장례식 행렬 영상을 보여준다. 채도 낮은 조명과 어우러져 전시장은 마치 하나의 작은 바다같다. 차분한 분위기와는 정 반대로 영상에서는 십자가를 진 예수가 물 속을 힘겹게 걷고, 여성의 옷을 입은 남자들과 정치 구호가 쓰인 팻말을 들고 지나가는 시위대를 청부폭력단이 위협한다.

작가는 “등장인물과 연출은 필리핀 사회의 현주소를 말한다”며 “나아가 전 지구적인 해양 온난화에 따라 더 크게 노출되고 있는 필리핀 내 기후변화의 위협을 비판적으로 나타낸 것”이라고 밝혔다.

제3전시실에서 이어지는 4전시실에는 엘리아 누비스타(Elia Nurvista)가 ‘비정통 요리 연구’를 통해 전통요리 조리법과 그 안에 들어가는 각 재료들과 원산지, 어원, 단계별 조리법 등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전통문화, 고유의 정체성과 같은 주제에 대해 논의한다.
 
또 카마타 유스케(Kamata Yusuke)의 ‘더 하우스(The House)’ 프로젝트는 일본, 한국, 미국에서 각기 다른 시대에 존재했던 이층 목조건물 형태의 일본 가옥에 대해 다룬다. 작가는 건축을 통해 일제강점기와 제2차 세계대전을 조명함과 동시에 건축과 인간의 역사에 대한 상관관계를 탐구했다.

연구플랫폼 (사진=강소영 기자)
연구플랫폼 (사진=강소영 기자)

■ 소통의 ‘플랫폼’

전시실과 전시실로 넘어가는 과정에는 ‘플랫폼’이 있다. 플랫폼은 두 맥락으로 나뉜다. 토론의 장인 연구 플랫폼과 쿠킹클래스, 일일마켓이 진행되는 놀이 플랫폼이다.

박 연구사는 “관람객이 참여자가 돼 논의에 관한 서로의 의견을 함께 공유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했다”며 “전시기간 중 생산되는 워크숍의 결과물과 기록물들은 전시기간부터 전시가 종료된 이후에도 독립적으로 유지되고 발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제1전시실에서 2전시실로 넘어가는 공간은 전창이 13m에 달한다. 이곳에서는 '맵오피스' 전시가 진행되는 동시에 연구플랫폼으로도 활용된다. 아카이브 영상, 도서관, 작가들의 작업에서 발췌된 창의적이고 새로운 키워드들과 만날 수 있다.

제2전시실에서 3전시실로 가는 놀이 플랫폼은 유동적 변화형태를 띈다. 전시 마지막 키워드인 ‘관계’를 직접 만들어가는 공간이다. 참여 작가가 운영하는 일일장터를 비롯해 황 포치 작가가 직접 키운 레몬으로 만든 레몬와인을 시음할 수 있다. 이밖에도 요리교실, 강연 등으로 관객과 작가를 연결하는 공유의 공간으로 작용한다.

동시대 아시아 작가들은 자신들의 작품에 인종과 세계, 관념을 담아 자신만의 ‘소(小)우주’를 연결하며 의미를 확장하고 있다. 그들이 만든 작지만 작지 않은 아시아는 어떤 의미를 내포하는지 들여다보고 사회에 만연한 통념에 대해 고찰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2018 아시아 기획전 ‘당신이 모르는 이야기’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4월 7일부터 오는 7월 8일까지 이어진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