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금융지주들이 현 정부의 정책과 맞물려 ESG 경영·투자에 비중을 높이고 있다 (사진=각 금융지주) 코로나19 펜데믹으로 세상이 바뀌고 있다. 은행업도 예외가 아니다. 인터넷전문은행의 가파른 성장, 오픈뱅킹 등 오픈파이낸스가 시작돼 더이상 머뭇거릴 수 없다. 대동소이한 사업영역에서 유사한 서비스로 가격경쟁만 해서는 살아남을 수 없다. 차별화된 업무와 서비스 제공에 초점이 맞춰졌다. 디지털과 인공지능(AI)를 활용해 새로운 영역을 만들겠다는 각오다. 뷰어스는 2021년 새해를 맞아 은행의 변신을 전망해보는 기획을 마련했다. -편집자주- ESG(환경·사회·지배구조)가 전세계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더이상 기업이 수익만을 추구해서는 생존할 수 없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사회적 윤리적으로도 올바름을 추구해야한다. 국내 주요 은행과 금융사들도 마찬가지로 올해를 'ESG 경영' 원년으로 선포하는 등 본격적인 방향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고객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금융산업에서의 ESG 경영은 더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 잡았다.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각국 정부의 탄소중립 선언, 그린 뉴딜 정책과 맞물려 금융권도 이에 발맞추겠다는 것이다. ■ 담당 부서 줄줄이 신설 신한금융지주는 그룹 내 전략·지속가능부문 산하에 ESG 기획팀을 새로 만들었다. 기존에는 전략 관련 팀 내부에서 ESG를 함께 담당했지만 이번 개편을 통해 별도 팀이 신설됐다. 우리금융지주는 ESG 경영부를 꾸렸고 그룹 중점사업 관리 효율성을 높이기위해 자산관리·글로벌·CIB 사업부문은 폐지하되 업무는 사업성장부문에서 통합 수행하기로 했다. 하나금융지주도 새로운 성장전략인 '넥스트(NEXT) 2030, 빅스텝(Big Step)'을 통해 경영전략본부 내 ESG 전담 부서인 ESG 기획 섹션을 신설했다. NH농협은행은 올해 안에 ESG 추진위원회와 녹색금융사업단 등을 만들 계획이다. 농협은행은 3일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ISO 14001 환경경영체제 국제표준 인증'을 획득했다다. KB금융지주는 지난해 초부터 기존 사회공헌문화부를 ESG 전략부로 개편, 일찍이 ESG 경영 체계를 강화했다. 이사회 내에선 ESG 위원회도 운영되고 있다. KB금융 관계자는 "주주가치와 사회적 책임을 함께 요구하는 경영 패러다임 변화에 적극 대응할 것"이라며 "'ESG경영'을 통해 환경과 사회를 생각하는 책임있는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속가능경영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탈(脫)석탄 금융' 행보 '탈석탄 선언' '탄소중립'이 가장 부각되는 금융권 ESG 경영 흐름 중 하나다. 즉, 환경을 헤치는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이나 이산화탄소를 다량 배출하는 사업에 자금을 공급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KB금융은 지난해 9월 금융그룹에선 최초로 탈석탄 금융을 선언했다.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관련 신규 프로젝트 파이낸싱(PF)과 채권 인수 사업을 전면 중단하기로 한 것이다. 신한금융도 지난해 11월 친환경 전략인 '제로 카본 드라이브(Zero Carbon Drive)'를 발표했다. 2050년까지 그룹이 보유한 자산 포트폴리오의 탄소배출량을 '제로(0)'로 만들겠다는 목표다. 우리금융도 지난달 '2050 탄소중립 금융그룹'을 선언, 앞으로 석탄발전소 건설을 위한 신규 PF를 중단하고, 기존 투자된 관련 자산은 리파이낸싱(재융자) 시점에 회수하기로 했다. 하나금융은 현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경영 강화, 환경·사회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도입, 지속가능금융상품 분류체계 정비, 적도원칙 가입, TCFD 가이드라인 도입 등을 검토 중이다. 또 '탄소중립 2050' 정책을 반영해 탄소배출량 중장기 목표를 재설정해 관리할 계획이다. ■ ESG 채권 모집 이어져 'ESG 채권'이란 기업이 채권 발행으로 조달한 자금을 친환경, 사회적 사업 등에 한해 쓰겠다고 확약한 특수목적 채권이다. 'ESG 채권'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한 은행은 이 자금을 환경·사회문제 해결 등 목적에 맞게 써야 한다.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은 최근 ESG 채권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해 발행된 1조 2000억원에 대한 외부 검증을 마쳤다. KB금융지주와 KB국민은행은 원·달러·유로화 등으로 총 4차례에 걸쳐 ESG 채권을 발행해 약 2조 1500억원을 조달했다. 신한금융은 지난해에도 5억달러를 추가 발행했으며 NH농협은행도 지난해 7월 처음으로 5억달러 소셜본드 발행에 성공했다. 하나은행(1억 5000만달러)과 우리은행(7500억원, 4억 호주달러)도 잇달아 발행 대열에 동참했다. 신진영 한국기업지배구조원장은 "ESG 경영은 기업의 사회적 공헌 활동이 아니라 필수 과제"라며 "기업의 가치를 중장기적으로 제고하면서 사회발전과 환경개선에 기여할 기업별 경영전략과 사업모형을 발굴하고 실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1 은행이 바뀐다] ③'ESG 경영' 원년 선포...탄소중립 잇따라

담당 부서 신설하고 자산포트폴리오 재편

최동수 기자 승인 2021.01.11 14:32 | 최종 수정 2021.01.14 15:55 의견 0
주요 금융지주들이 현 정부의 정책과 맞물려 ESG 경영·투자에 비중을 높이고 있다 (사진=각 금융지주)

코로나19 펜데믹으로 세상이 바뀌고 있다. 은행업도 예외가 아니다. 인터넷전문은행의 가파른 성장, 오픈뱅킹 등 오픈파이낸스가 시작돼 더이상 머뭇거릴 수 없다. 대동소이한 사업영역에서 유사한 서비스로 가격경쟁만 해서는 살아남을 수 없다. 차별화된 업무와 서비스 제공에 초점이 맞춰졌다. 디지털과 인공지능(AI)를 활용해 새로운 영역을 만들겠다는 각오다. 뷰어스는 2021년 새해를 맞아 은행의 변신을 전망해보는 기획을 마련했다. -편집자주-

ESG(환경·사회·지배구조)가 전세계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더이상 기업이 수익만을 추구해서는 생존할 수 없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사회적 윤리적으로도 올바름을 추구해야한다.

국내 주요 은행과 금융사들도 마찬가지로 올해를 'ESG 경영' 원년으로 선포하는 등 본격적인 방향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고객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금융산업에서의 ESG 경영은 더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 잡았다.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각국 정부의 탄소중립 선언, 그린 뉴딜 정책과 맞물려 금융권도 이에 발맞추겠다는 것이다.

■ 담당 부서 줄줄이 신설

신한금융지주는 그룹 내 전략·지속가능부문 산하에 ESG 기획팀을 새로 만들었다. 기존에는 전략 관련 팀 내부에서 ESG를 함께 담당했지만 이번 개편을 통해 별도 팀이 신설됐다.

우리금융지주는 ESG 경영부를 꾸렸고 그룹 중점사업 관리 효율성을 높이기위해 자산관리·글로벌·CIB 사업부문은 폐지하되 업무는 사업성장부문에서 통합 수행하기로 했다.

하나금융지주도 새로운 성장전략인 '넥스트(NEXT) 2030, 빅스텝(Big Step)'을 통해 경영전략본부 내 ESG 전담 부서인 ESG 기획 섹션을 신설했다.

NH농협은행은 올해 안에 ESG 추진위원회와 녹색금융사업단 등을 만들 계획이다. 농협은행은 3일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ISO 14001 환경경영체제 국제표준 인증'을 획득했다다.

KB금융지주는 지난해 초부터 기존 사회공헌문화부를 ESG 전략부로 개편, 일찍이 ESG 경영 체계를 강화했다. 이사회 내에선 ESG 위원회도 운영되고 있다.

KB금융 관계자는 "주주가치와 사회적 책임을 함께 요구하는 경영 패러다임 변화에 적극 대응할 것"이라며 "'ESG경영'을 통해 환경과 사회를 생각하는 책임있는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속가능경영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탈(脫)석탄 금융' 행보

'탈석탄 선언' '탄소중립'이 가장 부각되는 금융권 ESG 경영 흐름 중 하나다. 즉, 환경을 헤치는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이나 이산화탄소를 다량 배출하는 사업에 자금을 공급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KB금융은 지난해 9월 금융그룹에선 최초로 탈석탄 금융을 선언했다.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관련 신규 프로젝트 파이낸싱(PF)과 채권 인수 사업을 전면 중단하기로 한 것이다.

신한금융도 지난해 11월 친환경 전략인 '제로 카본 드라이브(Zero Carbon Drive)'를 발표했다. 2050년까지 그룹이 보유한 자산 포트폴리오의 탄소배출량을 '제로(0)'로 만들겠다는 목표다.

우리금융도 지난달 '2050 탄소중립 금융그룹'을 선언, 앞으로 석탄발전소 건설을 위한 신규 PF를 중단하고, 기존 투자된 관련 자산은 리파이낸싱(재융자) 시점에 회수하기로 했다.

하나금융은 현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경영 강화, 환경·사회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도입, 지속가능금융상품 분류체계 정비, 적도원칙 가입, TCFD 가이드라인 도입 등을 검토 중이다. 또 '탄소중립 2050' 정책을 반영해 탄소배출량 중장기 목표를 재설정해 관리할 계획이다.

■ ESG 채권 모집 이어져

'ESG 채권'이란 기업이 채권 발행으로 조달한 자금을 친환경, 사회적 사업 등에 한해 쓰겠다고 확약한 특수목적 채권이다. 'ESG 채권'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한 은행은 이 자금을 환경·사회문제 해결 등 목적에 맞게 써야 한다.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은 최근 ESG 채권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해 발행된 1조 2000억원에 대한 외부 검증을 마쳤다. KB금융지주와 KB국민은행은 원·달러·유로화 등으로 총 4차례에 걸쳐 ESG 채권을 발행해 약 2조 1500억원을 조달했다.

신한금융은 지난해에도 5억달러를 추가 발행했으며 NH농협은행도 지난해 7월 처음으로 5억달러 소셜본드 발행에 성공했다. 하나은행(1억 5000만달러)과 우리은행(7500억원, 4억 호주달러)도 잇달아 발행 대열에 동참했다.

신진영 한국기업지배구조원장은 "ESG 경영은 기업의 사회적 공헌 활동이 아니라 필수 과제"라며 "기업의 가치를 중장기적으로 제고하면서 사회발전과 환경개선에 기여할 기업별 경영전략과 사업모형을 발굴하고 실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