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는 가상자산 시가총액이 지금보다 최대 2배 가깝게 늘어날 겁니다.” 최근 가상자산 시장이 ‘크립토윈터’로 위축된 흐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이같은 분위기가 내년에는 반전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가상자산의 제도권 편입 확대 및 디파이 시장의 성숙 등도 주목해볼 만한 포인트로 꼽혔다. (자료=코빗 리서치센터 가상자산 시장 전망 리포트) 5일 정석문 코빗 리서치센터장은 내년 가상자산 시장 전망 리포트를 통해 “그간 지속됐던 미 연준의 긴축 정책으로 인해 내년 상반기 중에는 인플레이션 수치가 안정을 찾음으로써 위험자산 전반에 대한 수요 회복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이런 시나리오라면 2023년은 2019년과 유사한 양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대중들은 2018년 가상자산 폭락으로 인해 2019년에도 그 영향이 이어졌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으나 사실 2019년 한 해의 비트코인 수익률은 92%에 달했다 고 설명했다. 2019년 초 미 연준은 그 이전까지 여러 차례 단행한 금리 인상을 동결했고 그 해 9월에는 보유 채권 축소를 중단하는 등 정책 방향을 선회한 바 있다. 정 센터장은 “가상자산 업계의 투자, 연구 개발, 채용 등은 꾸준히 늘고 있고 이는 지난해 강세장에서 가상자산의 가치를 이해한 계층이 늘어나면서 업계의 펀더멘털이 개선된 것으로 볼 수 있다”면서 “이런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내년도 가상자산 시가총액이 현재 8000억 달러 대비 1조에서 최대 1조5000억달러대까지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보였다. 이어 최윤영 연구원은 가상자산의 제도권 편입 확대에 주목했다. 특히 기관들이 비트코인뿐만 아니라 이더리움에 대해 갖는 관심이 높아질 것이란 진단이다. 그는 “올해 하반기 피델리티는 이더리움 인덱스 펀드를 출시했고 JP모건은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활용한 첫 디파이 거래에 성공했다”며 “특히 JP모건의 디파이 거래 성공은 그간 가스비 문제로 시장에 진입하지 못했던 기관들의 우려를 해소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이에 최 연구원은 디파이에 관심을 보여왔던 뉴욕멜론은행(BNY Mellon), 골드만삭스(Goldman Sachs), ING와 같은 3개 사가 내년에 디파이 거래에 나설 수도 있다고 밝혔다. 김민승 연구원은 스테이블코인·디파이·전통 금융기관의 시너지가 발휘될 가능성에 주목했다. 법정화폐 대비 가격 등락이 심한 가상자산은 일반 상거래나 소액 결제용으로 쓰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블록체인과 가상자산은 국가나 대형 기관이 발행한 스테이블코인 형태로 대중 속으로 들어올 가능성이 높다는 것. 이에 “넥스트 달러로서 스테이블코인의 패권을 차지하기 위해 USDT 발행사 테더(Tether), USDC 발행사 서클(Circle), BUSD 발행사 바이낸스(Binance)까지 3개 사가 치열하게 경쟁하며 스테이블코인 사용처가 늘 것”이란 설명이다. 또 김 연구원은 디파이 측면에서는 FTX 이슈로 중앙화 거래소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DEX(탈중앙화거래소)의 사용자 수와 거래량이 늘었고 최근 바이낸스 창펑자오 대표가 디파이에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다고 밝힌 만큼 내년에는 디파이 시장이 더욱 성숙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이와 함께 피델리티가 개인 고객을 위한 가상자산 투자상품인 ‘피델리티 크립토’ 모집을 FTX 사태 발생 이후인 지난달 말부터 시작한 것에 주목해야 한다며 가상자산 규제 도입 확대 등으로 리스크가 해소된다면 전통 금융기관들이 각자의 기존 서비스에 가상자산을 융합하려는 시도가 늘어날 것으로도 기대했다.

“내년 가상자산 시가총액 1.5조불까지 회복할 것”

코빗 리서치센터 출범 1년 기념 연구원 4인 2023년 가상자산 시장 전망

박민선 기자 승인 2022.12.05 09:15 의견 0

“내년에는 가상자산 시가총액이 지금보다 최대 2배 가깝게 늘어날 겁니다.”

최근 가상자산 시장이 ‘크립토윈터’로 위축된 흐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이같은 분위기가 내년에는 반전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가상자산의 제도권 편입 확대 및 디파이 시장의 성숙 등도 주목해볼 만한 포인트로 꼽혔다.

(자료=코빗 리서치센터 가상자산 시장 전망 리포트)


5일 정석문 코빗 리서치센터장은 내년 가상자산 시장 전망 리포트를 통해 “그간 지속됐던 미 연준의 긴축 정책으로 인해 내년 상반기 중에는 인플레이션 수치가 안정을 찾음으로써 위험자산 전반에 대한 수요 회복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이런 시나리오라면 2023년은 2019년과 유사한 양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대중들은 2018년 가상자산 폭락으로 인해 2019년에도 그 영향이 이어졌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으나 사실 2019년 한 해의 비트코인 수익률은 92%에 달했다
고 설명했다.

2019년 초 미 연준은 그 이전까지 여러 차례 단행한 금리 인상을 동결했고 그 해 9월에는 보유 채권 축소를 중단하는 등 정책 방향을 선회한 바 있다.

정 센터장은 “가상자산 업계의 투자, 연구 개발, 채용 등은 꾸준히 늘고 있고 이는 지난해 강세장에서 가상자산의 가치를 이해한 계층이 늘어나면서 업계의 펀더멘털이 개선된 것으로 볼 수 있다”면서 “이런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내년도 가상자산 시가총액이 현재 8000억 달러 대비 1조에서 최대 1조5000억달러대까지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보였다.

이어 최윤영 연구원은 가상자산의 제도권 편입 확대에 주목했다. 특히 기관들이 비트코인뿐만 아니라 이더리움에 대해 갖는 관심이 높아질 것이란 진단이다.

그는 “올해 하반기 피델리티는 이더리움 인덱스 펀드를 출시했고 JP모건은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활용한 첫 디파이 거래에 성공했다”며 “특히 JP모건의 디파이 거래 성공은 그간 가스비 문제로 시장에 진입하지 못했던 기관들의 우려를 해소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이에 최 연구원은 디파이에 관심을 보여왔던 뉴욕멜론은행(BNY Mellon), 골드만삭스(Goldman Sachs), ING와 같은 3개 사가 내년에 디파이 거래에 나설 수도 있다고 밝혔다.

김민승 연구원은 스테이블코인·디파이·전통 금융기관의 시너지가 발휘될 가능성에 주목했다. 법정화폐 대비 가격 등락이 심한 가상자산은 일반 상거래나 소액 결제용으로 쓰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블록체인과 가상자산은 국가나 대형 기관이 발행한 스테이블코인 형태로 대중 속으로 들어올 가능성이 높다는 것.

이에 “넥스트 달러로서 스테이블코인의 패권을 차지하기 위해 USDT 발행사 테더(Tether), USDC 발행사 서클(Circle), BUSD 발행사 바이낸스(Binance)까지 3개 사가 치열하게 경쟁하며 스테이블코인 사용처가 늘 것”이란 설명이다.

또 김 연구원은 디파이 측면에서는 FTX 이슈로 중앙화 거래소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DEX(탈중앙화거래소)의 사용자 수와 거래량이 늘었고 최근 바이낸스 창펑자오 대표가 디파이에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다고 밝힌 만큼 내년에는 디파이 시장이 더욱 성숙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이와 함께 피델리티가 개인 고객을 위한 가상자산 투자상품인 ‘피델리티 크립토’ 모집을 FTX 사태 발생 이후인 지난달 말부터 시작한 것에 주목해야 한다며 가상자산 규제 도입 확대 등으로 리스크가 해소된다면 전통 금융기관들이 각자의 기존 서비스에 가상자산을 융합하려는 시도가 늘어날 것으로도 기대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