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사옥(왼쪽), 쿠팡 사옥. (사진=각 사) 네이버가 이달부터 '도착보장' 서비스를 통해 약점으로 지적받던 배송 경쟁력을 높인다. '로켓배송'을 무기로 이커머스 시장에서 독주하고 있는 쿠팡에게 도전장을 낸 셈이다. 네이버와 쿠팡이 빠르고 정확한 배송으로 승부를 벌이는 것. 양사는 빠르고 빠른 배송이라는 목표를 위해 다른 데이터 활용 방법을 꺼내들었다. 5일 IT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가 오는 14일부터 '도착보장' 서비스를 제공한다. '네이버 도착보장'은 풀필먼트 데이터 플랫폼 NFA(Naver Fulfillment Alliance)와 물류 데이터 플랫폼 고도화 끝에 탄생한 솔루션이다. 네이버의 기술을 통해 주문 데이터·물류사 재고·택배사 배송 등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에게 높은 정확도의 도착일을 보장하는 게 핵심이다. 네이버는 그동안 자체 유통망을 갖춘 소수의 판매자를 제외하고는 대다수의 판매자들은 유통 과정에서 데이터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측면에 주목했다. 판매자들이 자사의 쇼핑몰을 만들어 고객 데이터 확보에 나서고는 있으나 커져버린 이커머스 시장 틈바구니를 파고들기는 쉽지 않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네이버는 판매자들의 가려운 부분을 긁어주기 위해 쿠팡과는 다른 모델을 선택했다. 쿠팡이 '리테일러' 모델을 내세운 것과 달리 네이버가 자체쇼핑몰에서 소비자직거래(D2C) 솔루션을 더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얼라이언스 물류 모델을 구축했다. 네이버는 네이버쇼핑이 그동안 쌓은 데이터 활용과 함께 배송 경쟁력을 높이면서 이커머스 시장 점유율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배송 경쟁력 제고를 위해 물류 인프라 시스템도 택배업계 1위인 CJ대한통운과 협력으로 해결했다. 여기에 '품고', '파스토' 등 다양한 물류 스타트업들과 동맹을 맺었다. '네이버도착보장'이 사실상 반쿠팡 동맹으로 꼽히는 배경이다. 쿠팡의 리테일러 모델은 아마존과 같이 자체 창고에 미리 상품을 구입해 보관해뒀다가 주문 발생 시 직접 배송하는 시스템을 뜻한다. 쿠팡은 이를 위해 수조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해 한국 인구 과반 이상이 쿠팡 물류센터 10㎞ 안에 거주할 정도의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지난 6월 한진택배에 일부 위탁했던 ‘로켓배송’ 물량도 자체 배송으로 전환했다. 장진용 책임 리더가 네이버 도착보장 서비스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사진=네이버) ■ 극명하게 대비되는 사업 전략에 엇갈리는 데이터 활용법 쿠팡과 네이버의 사업 전략은 다르다. 그러나 이커머스 1위를 놓고 경쟁한다는 측면에서 각 사의 강점은 뚜렷한다. 공통적으로 두 업체는 데이터를 앞세운다. 지난 8년간 6조원이 넘는 적자를 기록한 쿠팡은 올해 시장 점유율을 키우며 첫 분기 흑자를 냈다. 시장 점유율 확대 배경에는 인공지능(AI) 머신 러닝 기술 기반으로 고객 데이터를 분석한 점이 꼽힌다. 쿠팡Inc 김범석 의장은 올해 3분기 실적 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여러 지역에 신선식품 유통을 확대하면 재고 손실이 늘어나게 마련인데, 쿠팡은 인공지능 머신러닝 기술 기반의 수요 예측으로 신선식품 재고 손실을 지난해와 비교해 50% 줄였다"고 밝혔다. 쿠팡은 '머신러닝 기술을 이용해 운송 시간 및 배송 수수료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재고 배치 시스템에 대한 특허'라는 특허를 내는 등 머신러닝 기술 고도화에 주력했다. 쿠팡의 머신러닝은 축적된 고객 주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 수요를 예측하고 수요 예측을 통해 필요한 재품을 직매입하고 재고는 최종 고객과 가까운 전국의 쿠팡 풀필먼트센터에 나눠 보관하게끔한다. 쿠팡의 로켓배송이 가능한 이유다. 쿠팡이 물류 효율성에 강점이 있다면 네이버는 분석한 데이터를 네이버쇼핑에 입점한 브랜드사에 제공하면서 판매 자율성과 도착보장 시너지를 기대한다. 쿠팡의 직매입 시스템은 상품의 재고나 가격, 발주 등을 쿠팡이 직접 결정한다. 판매자들의 쿠팡 의존도가 높아질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판매자들이 향후 사업 전략을 수립할 때 데이터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네이버는 축적된 데이터를 판매자와 소비자에게 모두 제공하면서 효율적인 물류 얼라이언스 모델을 구축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커머스 시장에서 독주하고 있는 쿠팡의 틈새 시장 공략에 나선것이다. 업계에서는 네이버의 도착보장서비스가 판매자 입장에서는 데이터 활용을 통한 사업 전략 수립에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정확한 배송일자와 수요 예측에 따라 상품의 입고와 재고 관리 등에 유용할 것이라는 게 업계 시각이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원하는 상품 별로 도착 보장과 빠른 배송을 확인하면서 원하는 시일에 도착할 수 있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윤숙 네이버 커머스 사업 부문 Forest CIC 대표는 지난달 3일 브랜드 파트너스데이에서 "브랜드가 직접 AI 개발자, 데이터 분석 전문가, CRM 툴 등을 직접 구축하지 않아도 네이버의 기술 솔루션들을 통해 D2C 전략을 구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브랜드를 향한 네이버의 방향성"이라며 "네이버도착보장' 솔루션이 그동안 브랜드사들이 갖기 어려웠던 판매 및 물류 데이터를 브랜드사가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핵심 솔루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사용자에게는 FMCG(Fast-Moving Consumer Goods) 카테고리 중심으로 도착 보장과 빠른배송 이라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이커머스 업계 관계자는 "당장 쿠팡이 수 년간 적자를 본 끝에야 이커머스 시장에서 빛을 본 것처럼 네이버도 당장의 성과를 얻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나 자본을 바탕으로 한 네이버가 아마존처럼 ‘온라인 풀필먼트 데이터 플랫폼’를 고도화해 향후 성장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네이버 vs 쿠팡 ‘배송전쟁’...데이터 활용법이 승부 가른다

네이버 '도착보장', 얼라이언스 물류 모델 vs 쿠팡 '로켓배송', 리테일러 모델

정지수 탁지훈 기자 승인 2022.12.05 10:46 의견 0
네이버 사옥(왼쪽), 쿠팡 사옥. (사진=각 사)

네이버가 이달부터 '도착보장' 서비스를 통해 약점으로 지적받던 배송 경쟁력을 높인다. '로켓배송'을 무기로 이커머스 시장에서 독주하고 있는 쿠팡에게 도전장을 낸 셈이다.

네이버와 쿠팡이 빠르고 정확한 배송으로 승부를 벌이는 것. 양사는 빠르고 빠른 배송이라는 목표를 위해 다른 데이터 활용 방법을 꺼내들었다.

5일 IT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가 오는 14일부터 '도착보장' 서비스를 제공한다.

'네이버 도착보장'은 풀필먼트 데이터 플랫폼 NFA(Naver Fulfillment Alliance)와 물류 데이터 플랫폼 고도화 끝에 탄생한 솔루션이다. 네이버의 기술을 통해 주문 데이터·물류사 재고·택배사 배송 등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에게 높은 정확도의 도착일을 보장하는 게 핵심이다.

네이버는 그동안 자체 유통망을 갖춘 소수의 판매자를 제외하고는 대다수의 판매자들은 유통 과정에서 데이터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측면에 주목했다. 판매자들이 자사의 쇼핑몰을 만들어 고객 데이터 확보에 나서고는 있으나 커져버린 이커머스 시장 틈바구니를 파고들기는 쉽지 않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네이버는 판매자들의 가려운 부분을 긁어주기 위해 쿠팡과는 다른 모델을 선택했다. 쿠팡이 '리테일러' 모델을 내세운 것과 달리 네이버가 자체쇼핑몰에서 소비자직거래(D2C) 솔루션을 더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얼라이언스 물류 모델을 구축했다.

네이버는 네이버쇼핑이 그동안 쌓은 데이터 활용과 함께 배송 경쟁력을 높이면서 이커머스 시장 점유율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배송 경쟁력 제고를 위해 물류 인프라 시스템도 택배업계 1위인 CJ대한통운과 협력으로 해결했다. 여기에 '품고', '파스토' 등 다양한 물류 스타트업들과 동맹을 맺었다. '네이버도착보장'이 사실상 반쿠팡 동맹으로 꼽히는 배경이다.

쿠팡의 리테일러 모델은 아마존과 같이 자체 창고에 미리 상품을 구입해 보관해뒀다가 주문 발생 시 직접 배송하는 시스템을 뜻한다. 쿠팡은 이를 위해 수조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해 한국 인구 과반 이상이 쿠팡 물류센터 10㎞ 안에 거주할 정도의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지난 6월 한진택배에 일부 위탁했던 ‘로켓배송’ 물량도 자체 배송으로 전환했다.

장진용 책임 리더가 네이버 도착보장 서비스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사진=네이버)

■ 극명하게 대비되는 사업 전략에 엇갈리는 데이터 활용법

쿠팡과 네이버의 사업 전략은 다르다. 그러나 이커머스 1위를 놓고 경쟁한다는 측면에서 각 사의 강점은 뚜렷한다.

공통적으로 두 업체는 데이터를 앞세운다. 지난 8년간 6조원이 넘는 적자를 기록한 쿠팡은 올해 시장 점유율을 키우며 첫 분기 흑자를 냈다. 시장 점유율 확대 배경에는 인공지능(AI) 머신 러닝 기술 기반으로 고객 데이터를 분석한 점이 꼽힌다.

쿠팡Inc 김범석 의장은 올해 3분기 실적 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여러 지역에 신선식품 유통을 확대하면 재고 손실이 늘어나게 마련인데, 쿠팡은 인공지능 머신러닝 기술 기반의 수요 예측으로 신선식품 재고 손실을 지난해와 비교해 50% 줄였다"고 밝혔다.

쿠팡은 '머신러닝 기술을 이용해 운송 시간 및 배송 수수료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재고 배치 시스템에 대한 특허'라는 특허를 내는 등 머신러닝 기술 고도화에 주력했다. 쿠팡의 머신러닝은 축적된 고객 주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 수요를 예측하고 수요 예측을 통해 필요한 재품을 직매입하고 재고는 최종 고객과 가까운 전국의 쿠팡 풀필먼트센터에 나눠 보관하게끔한다. 쿠팡의 로켓배송이 가능한 이유다.

쿠팡이 물류 효율성에 강점이 있다면 네이버는 분석한 데이터를 네이버쇼핑에 입점한 브랜드사에 제공하면서 판매 자율성과 도착보장 시너지를 기대한다.

쿠팡의 직매입 시스템은 상품의 재고나 가격, 발주 등을 쿠팡이 직접 결정한다. 판매자들의 쿠팡 의존도가 높아질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판매자들이 향후 사업 전략을 수립할 때 데이터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네이버는 축적된 데이터를 판매자와 소비자에게 모두 제공하면서 효율적인 물류 얼라이언스 모델을 구축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커머스 시장에서 독주하고 있는 쿠팡의 틈새 시장 공략에 나선것이다.

업계에서는 네이버의 도착보장서비스가 판매자 입장에서는 데이터 활용을 통한 사업 전략 수립에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정확한 배송일자와 수요 예측에 따라 상품의 입고와 재고 관리 등에 유용할 것이라는 게 업계 시각이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원하는 상품 별로 도착 보장과 빠른 배송을 확인하면서 원하는 시일에 도착할 수 있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윤숙 네이버 커머스 사업 부문 Forest CIC 대표는 지난달 3일 브랜드 파트너스데이에서 "브랜드가 직접 AI 개발자, 데이터 분석 전문가, CRM 툴 등을 직접 구축하지 않아도 네이버의 기술 솔루션들을 통해 D2C 전략을 구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브랜드를 향한 네이버의 방향성"이라며 "네이버도착보장' 솔루션이 그동안 브랜드사들이 갖기 어려웠던 판매 및 물류 데이터를 브랜드사가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핵심 솔루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사용자에게는 FMCG(Fast-Moving Consumer Goods) 카테고리 중심으로 도착 보장과 빠른배송 이라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이커머스 업계 관계자는 "당장 쿠팡이 수 년간 적자를 본 끝에야 이커머스 시장에서 빛을 본 것처럼 네이버도 당장의 성과를 얻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나 자본을 바탕으로 한 네이버가 아마존처럼 ‘온라인 풀필먼트 데이터 플랫폼’를 고도화해 향후 성장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