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음
SEOUUL
JAYANGDONG
17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서치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회원가입
로그인
전체 메뉴
전체 메뉴
FINANCE
은행
증권
- IPO 뉴스
- 자산운용
보험
카드
기자가 간다
종합
가상자산
BIZ
산업
생활경제
부동산
IT
그룹
사회
기자가 간다
JOY
문화
- BTS NEWS
ART
- 뉴스
- 전시 스케줄
- 전국 갤러리 소개
라이프
인터뷰
멀티미디어
핫이슈
Think
ESG
K 뉴딜
View 기획
오피니언
- 기자칼럼
- 데스크칼럼
- 기고
National
FINANCE
은행
증권
- IPO 뉴스
- 자산운용
보험
카드
기자가 간다
종합
가상자산
BIZ
산업
생활경제
부동산
IT
그룹
사회
기자가 간다
JOY
문화
- BTS NEWS
ART
- 뉴스
- 전시 스케줄
- 전국 갤러리 소개
라이프
인터뷰
멀티미디어
핫이슈
Think
ESG
K 뉴딜
View 기획
오피니언
- 기자칼럼
- 데스크칼럼
- 기고
National
전체 기사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FINANCE
BIZ
JOY
Think
National
신문사소개
언론윤리강령
기사제보
독자투고
불편신고
제휴·광고·저작권 문의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서치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Home
Think
오피니언
기고
기고
다음
이전
기고
[이병엽의 커피View] 한국인은 에스프레소 전문가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자주 마시는 커피는 바로 에스프레소입니다. 그 이유는 커피를 마실 때 카페 아메리카노와 카페 라떼를 대부분 선택하기 때문입니다. 카페 아메리카노는 고압의 에스프레소 머신에서 추출한 에스프레소에 정수된 물을 희석시켜 제조하는 커피이고, 카페 라떼 역시 에스프레소와 벨벳처럼 부드러운 스팀 우유가 조합된
이병엽 바리스타
2023.03.29 08:47
기고
[한동희의 까칠한이야기] 당뇨·고혈압 환자도 장애인이다
당뇨, 고혈압 환자도 장애인이다? ‘장애인’이라는 말의 무게 때문에 선뜻 동의하기 어렵겠지만, 그럴 수도 있습니다. 무슨 근거로, 왜 이런 주장을 하는 걸까요. 이제 그 얘기를 시작하겠습니다. 재미는 없겠지만, 인내심을 갖고 집중하면, 뜻밖에 적지 않은 공돈(?)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소득세법 제51조는 ‘장애인’에 대해
한동희
2023.03.15 08:21
기고
[강대권의 시시각각] 미국 중소은행 예금의 머니무브
미국은 자유주의 국가다. 규제를 싫어한다. 그래서 우리 시각으로는 황당할 정도의 허점이 있을 때도 있다. 미국은 은행을 자산규모에 따라 카테고리 1~4개로 나누어 규제한다. 지난주 파산으로 난리가 난 실리콘밸리은행(이하 SVB) 경우는 카테고리4 은행으로 유동성에 대한 매우 느슨한 규제를 받고 있다. 그래서 3년만에 예
강대권
2023.03.14 11:13
기고
[김경렬의 자본시장] 자동차 과실비율 분쟁, 알면 편리한 것들
자동차 운전자라면 한 번쯤은 교통사고 발생 후 나의 과실비율이 얼마나 될 지 고민해 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언론이나 개인 채널에서도 공개된 블랙박스 동영상을 보면서 ‘몇 대 몇’일 지 토론하는 모습이 종종 눈에 띈다. 그만큼 자동차사고 과실비율에 대한 궁금증은 누구에게나 민감해지고 있다. 특히 최근 자동차보험 제도
김경렬
2023.03.13 15:23
기고
[최수영의 보험법률] 사망보험금 지급되는 자살의 3가지 요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자살은 기본적으로 고의자살이다. 고의 자살은 보험금의 지급요건에 해당되지 않는다. 그런데 예외가 있다. 자살을 하더라도 사망보험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 경우가 있다.보험약관에는 '심신상실 등으로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자신을 해친 경우'에 상해사망보험금으로 그 지급요건을 정한다. 이는
최수영 변호사
2023.03.06 07:00
기고
[강대권의 시시각각] 달러의 향방
세계 금융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를 하나 꼽으라면? 필자는 주저없이 ‘달러’를 꼽겠다. 달러는 국제거래에서 거의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을 표시해준다. 또 그 거래의 대가를 지불하기 위한 유동성을 공급해준다.달러 가치가 오른다는 것은, 미국 이외 지역에서 모든 물건의 가격이 오른다는 뜻이다. 또 그 비싸진 물건을 구입
강대권
2023.02.21 07:00
기고
[한동희의 까칠한이야기] ‘어부바’보다는 ‘어깨동무’
‘유감’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국회가 장관 탄핵소추안을 통과시키자, 국무총리가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했답니다. 얼마 전 우리 국민에 대한 비자 발급을 중단한 중국에 대해 정부가 유감을 표했습니다. 무슨 뜻인가요? ‘불만이다’, ‘기분 나쁘다’는 뜻입니다.그런데 ‘유감’이라는 말을 유감스럽게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
한동희
2023.02.20 07:00
기고
[최수영의 보험법률] '트럭서 추락', 보험 적용되는 이유
김봉고(가명)씨는 소형 봉고트럭(1톤)에 대해 보험회사와 영업용 자동차보험계약이 체결돼 있다. 위 보험계약 약관은 피보험자가 피보험자동차를 소유 및 사용, 관리하는 동안 발생한 피보험자동차 운행으로 인한 사고 등으로 상해를 입은 때 그로 인한 손해를 자기신체사고로 보상한다고 규정하고 있다.김씨는 위 보험계약기간 중 원단과
최수영 변호사
2023.02.13 13:24
기고
[김경렬의 자본시장] 회생절차에 관한 소고
전 세계적으로 불황이 불어닥친 가운데 경제생활을 하는 많은 국민들 중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 한층 많아지고 있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과거 1997년 IMF 사태,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시절도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가까운 분들이 경제적인 어려움을 이겨내지 못해 직장을 잃거나 파산하는 것을 보며 가슴 아팠던 시절이
김경렬
2023.01.20 13:29
기고
[강대권의 시시각각] 1970년대의 추억
먼저 제목에 대해 사과부터 드려야 할 것 같다. 필자는 1980년생으로 1970년대에 대한 추억을 갖기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1970년대에 대한 공부의 결과’ 정도로 제목을 썼어야 되는데 솔직하지 못한 제목이다. 이렇게까지 해서 70년대 이야기를 하려고 하는건, 최근의 금융시장 흐름이 이 시절과 사뭇 닮아 있기 때문
강대권
2023.01.13 11:53
기고
[한동희의 까칠한이야기] 금융, 모르면 손해봅니다
“나도 적금 붓고, 보험 들고 산다...” 영화 ‘타짜’에 나오는 대사입니다. 주인공이 자기도 평범한 사람이라며 하는 말입니다. 깡패가 아니라는 의미였지요. 맞습니다. 대부분의 평범한 사람들은 금융회사와 거래를 합니다.문제는 그런 평범한 사람들 대부분이 금융상품, 금융회사에 대해 잘 모른다는 사실입니다. 가입한 상품의
한동희
2023.01.11 10:30
기고
[김경렬의 자본시장뷰] FTX 파산과 국내 가상자산시장의 과제
세계 3위 가상화폐 거래소인 FTX가 파산신청을 했다. 시장 반응은 심각했고, 실제로 제2의 코인 시장 ‘리먼브러더스 파산 사태’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쏟아졌다.FTX는 회사 부채만 66조원에 달해 역사상 최대 규모의 파산 신청이다. 30세의 코인 갑부 샘 뱅크먼-프리드 최고경영자도 물러났다. 국내서 FTX를 통해 가
김경렬
2022.11.17 10:04
기고
[김경렬의 자본시장뷰] “STO 통한 가상자산 활용 고민할 때”
증권형 토큰(Security Token)은 지난 해까지 시가총액 약 36.7억달러 규모였다. 전 세계 주식시장 시가총액 약 119조달러의 10만분의 3 수준에 불과했다. 하지만 지난 한 해에만 증권형 토큰 시장 규모는 약 6배에 가까운 성장세를 보이며 그 기세가 두드러졌다.현재 시장에서 거래되는 증권형 토큰은 대부분 부
김경렬
2022.10.12 07:00
기고
[김경렬의 자본시장뷰] 가상자산 관련 ‘부처 이기주의’ 경계한다
STO는 가상자산 공개(ICO·Initial Coin offering)의 일종이다. 유무형 자산을 기반으로 가상자산을 발행하는 것을 의미한다.STO는 미래 수익이나 실물 자산 등에 대한 지분, 권리를 부여하는 토큰으로, 기초자산과 연계된다는 점에서 지급형 토큰, 유틸리티 토큰과 구분된다. 지급형 토큰이란 비트코인이나 도
김경렬
2022.09.14 10:35
기고
[한동희의 까칠한이야기] 돈을 일하게 하라구요? ②
앞선 기고문 에서 저는 ‘투기는 성공해도 문제’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제 그 이유를 설명할 차례입니다. 투기로 번 돈은 쉽게 벌었기에 지키지 못하고 의미 없이 탕진하거나, 그 돈 때문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는 주장은 들어보셨지요? 아주 익숙한 지적입니다. 투기에 성공한 사람을 많이 접해보지 못해 뭐라 단언하긴 어렵
한동희
2022.08.22 11:27
기고
[김경렬의 자본시장뷰] 보험사기 척결 위한 3가지 방법
얼마전 일가족이 90개가 넘는 보험에 가입한 뒤 허위 입원하는 방식으로 10년간 보험금을 편취한 보험사기 사건이 적발됐다. 이들은 가입자의 병력을 숨긴 채 계약 전 알림의무사항을 허위로 작성하고, 경미한 사고를 이유로 입원이 비교적 쉬운 중소형 병원에 입원하면서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입원일수만큼만 입원했다가 퇴원한 뒤
김경렬
2022.08.13 12:48
기고
[한동희의 까칠한이야기] 돈을 일하게 하라구요? ①
'돈을 일하게 하라'는 말을 들어보셨지요? 소위 ‘재테크’ 책에서 진리인 양 강조하는 말입니다. 요즘엔 은행 광고에 등장할 정도로 친숙한 주장이 됐습니다. 제가 이 말을 처음 접한 건 십수 년 전, 그 유명한 로버트 기요사키의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라는 책에서였습니다.워낙 오래전에 읽어서 정확한 내용이 기억나지는 않
한동희
2022.08.06 10:00
기고
[김경렬의 자본시장 뷰] “가상자산 규제, 시장과 소통할 때”
디지털자산기본법 제정 논의가 속도를 내고 있다. 글로벌 시장이 블록체인과 가상자산을 활용한 디지털 산업 경쟁력 확보에 주력하면서 우리나라도 가상자산에 대한 법적, 제도적 기반에 대한 논의가 시작됐다. 이른바 ‘루나 사태’ 이후 가상자산업계에 대한 규제와 투자자 보호의 필요성에 대한 지적도 힘을 얻은 분위기다. 시가총액
김경렬
2022.07.11 10:16
1
|
2
|
3
|
4
|
5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