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이 금융시장 위기의 핵으로 떠올랐다. 정부가 긴급 자금 수혈에 나선 가운데 그동안 잠잠했던 증권사 PF사업에 대한 ‘도덕적 해이’ 논란이 흘러나온다. 증권사들에겐 '효자'이자 '업계 종사자들에겐 '꿈의 라운드'였던 부동산PF. 관련 비즈니스의 현주소와 이들의 성과급 체계를 세 차례에 걸쳐 점검해보고 개선 방향도 짚어본다. 여의도 증권가 (사진=연합뉴스) “신기합니다. 직원 1인당 받는 보수 총량을 계산해보면 업계 내 평균치로 수렴하는 결과가 나오더라고요. 사별로 성과급 체계가 천차만별인데 결과가 이런 걸 보면 이게 진짜 시장경제 논리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들더군요.” -C증권사 경영관리담당 임원 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문 성과급에 대해 최근 시장조사를 진행했던 증권사 관계자의 설명에 따르면 이렇다. 자기자본이 8조원인 증권사가 부동산 익스포저 규모를 4조원으로 설정했을 때 PF 소속 직원 1인당 가용자본에 대한 성과급 비율을 10%로 했을 때와 자기자본 4조원인 증권사가 같은 비율의 부동산 익스포저를 활용, 직원당 가용자본이 그 절반 수준이더라도 성과급 비율을 20%로 설정함으로써 총량은 비슷해진다는 것이다. 즉, 이는 인력 확보를 위해 자본금이 낮은 증권사일수록 성과급을 과감하게 지급하는 체계를 적용하고 있단 의미다. 업계 관계자들은 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문의 성과급 적정성과 관련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면서도 개선해야 할 부분이 분명 존재한다는 데 공감하고 있다. ■ 1억의 1%와 1000억의 1% 먼저 성과급 비율과 관련된 부분부터 살펴봤다. 업무 난이도가 높을수록 많은 보상을 지급한다는 성과주의 기본 원칙 하에 법인영업 등과 비교했을 때 PF부문의 비율이 높은 것은 아니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 다수의 확인이다. 그럼에도 PF담당자들이 더 많은 성과급을 받을 수 있는 이유는 사업의 규모다. 일례로, 한 증권사에서 1000억원 짜리 PF딜을 성사시켰다고 가정해보자. 여기에서 인건비, 접대비, 판관비 등을 제외하고 남은 순영업수익을 회사와 본부가 배분하고 이것을 다시 직원들의 기여도 등에 따라 차등 지급하는 구조다. 하나의 딜로도 수억원대 성과급을 챙길 수 있는 이유가 여기 있다. “초창기에는 IB부문이 발로 뛰고 소위 ‘몸빵’으로 하는 영업 특성을 반영해 PF팀 역시 비슷한 비율을 받는 것에 대해 공감되는 측면이 있었어요. 하지만 딜 규모가 수천억대에 달하는 경우가 잦아지고, 갖춰진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을 감안할때 성과급 비율에 대해 재검토해볼 필요도 있다고 봅니다.” -D증권사 컴플라이언스 임원 ■ 잠재적 리스크 '매입확약' 재평가 필요 특히 매입확약 등이 갖는 잠재적 리스크에 대한 반영이 정확히 평가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은 짚어볼 만한 부분이다. 매입 확약이란, 해당 금융상품이 시장에서 만기연장 또는 판매되지 않았을 때 신용공여를 제공한 금융사가 물량을 떠안겠다는 일종의 보증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증권사 전체 매입 보장 및 확약금액은 상반기 말 기준 45조6000억원으로 지난 2020년말 대비 31% 증가했다. 이로 인해 위험 가중자산 규모 역시 33조6000억원으로 3년 6개월 만에 85% 늘어난 상태. 앞선 임원은 “매입확약의 경우 해당 건에 대해 문제 발생시 증권사가 자금을 지불하겠다는 보증의 개념인데 이에 대한 리스크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측면이 있다”며 “회사의 ‘북’을 쓰기 시작한 이후 인센티브율이 다운되고 있지만 관성이 존재하다보니 적정 수준까지 내려왔다고 보기 힘든 부분이 있다”고 했다. 이 부분은 고유자산을 운용하는 PI부서와 비교하더라도 회사 자본을 활용한 수익 창출이라는 점에서 분명 개선될 여지가 있어 보인다는 얘기다. 특히 중소형 증권사의 경우 대형사와의 성과보수 총량을 맞추기 위한 일환으로 그 비중을 의미있게 낮추긴 쉽지 않다. 경영진으로선 경쟁사로부터 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고육지책이지만 당장 내부로부터 불만과 상대적 박탈감이 새어나오는 것도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PF성과급②] 딜 하나당 억대 보수? 짚어볼 세가지 포인트

대규모 딜 성과급, 비율 조정 필요성 공감대
고유자본 활용 측면 PI와 비교되기도

박민선 기자 승인 2022.11.18 11:00 의견 0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이 금융시장 위기의 핵으로 떠올랐다. 정부가 긴급 자금 수혈에 나선 가운데 그동안 잠잠했던 증권사 PF사업에 대한 ‘도덕적 해이’ 논란이 흘러나온다. 증권사들에겐 '효자'이자 '업계 종사자들에겐 '꿈의 라운드'였던 부동산PF. 관련 비즈니스의 현주소와 이들의 성과급 체계를 세 차례에 걸쳐 점검해보고 개선 방향도 짚어본다.

여의도 증권가 (사진=연합뉴스)


“신기합니다. 직원 1인당 받는 보수 총량을 계산해보면 업계 내 평균치로 수렴하는 결과가 나오더라고요. 사별로 성과급 체계가 천차만별인데 결과가 이런 걸 보면 이게 진짜 시장경제 논리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들더군요.” -C증권사 경영관리담당 임원

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문 성과급에 대해 최근 시장조사를 진행했던 증권사 관계자의 설명에 따르면 이렇다.

자기자본이 8조원인 증권사가 부동산 익스포저 규모를 4조원으로 설정했을 때 PF 소속 직원 1인당 가용자본에 대한 성과급 비율을 10%로 했을 때와 자기자본 4조원인 증권사가 같은 비율의 부동산 익스포저를 활용, 직원당 가용자본이 그 절반 수준이더라도 성과급 비율을 20%로 설정함으로써 총량은 비슷해진다는 것이다.

즉, 이는 인력 확보를 위해 자본금이 낮은 증권사일수록 성과급을 과감하게 지급하는 체계를 적용하고 있단 의미다.

업계 관계자들은 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문의 성과급 적정성과 관련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면서도 개선해야 할 부분이 분명 존재한다는 데 공감하고 있다.

■ 1억의 1%와 1000억의 1%

먼저 성과급 비율과 관련된 부분부터 살펴봤다. 업무 난이도가 높을수록 많은 보상을 지급한다는 성과주의 기본 원칙 하에 법인영업 등과 비교했을 때 PF부문의 비율이 높은 것은 아니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 다수의 확인이다. 그럼에도 PF담당자들이 더 많은 성과급을 받을 수 있는 이유는 사업의 규모다.

일례로, 한 증권사에서 1000억원 짜리 PF딜을 성사시켰다고 가정해보자. 여기에서 인건비, 접대비, 판관비 등을 제외하고 남은 순영업수익을 회사와 본부가 배분하고 이것을 다시 직원들의 기여도 등에 따라 차등 지급하는 구조다. 하나의 딜로도 수억원대 성과급을 챙길 수 있는 이유가 여기 있다.

“초창기에는 IB부문이 발로 뛰고 소위 ‘몸빵’으로 하는 영업 특성을 반영해 PF팀 역시 비슷한 비율을 받는 것에 대해 공감되는 측면이 있었어요. 하지만 딜 규모가 수천억대에 달하는 경우가 잦아지고, 갖춰진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을 감안할때 성과급 비율에 대해 재검토해볼 필요도 있다고 봅니다.” -D증권사 컴플라이언스 임원

■ 잠재적 리스크 '매입확약' 재평가 필요

특히 매입확약 등이 갖는 잠재적 리스크에 대한 반영이 정확히 평가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은 짚어볼 만한 부분이다. 매입 확약이란, 해당 금융상품이 시장에서 만기연장 또는 판매되지 않았을 때 신용공여를 제공한 금융사가 물량을 떠안겠다는 일종의 보증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증권사 전체 매입 보장 및 확약금액은 상반기 말 기준 45조6000억원으로 지난 2020년말 대비 31% 증가했다. 이로 인해 위험 가중자산 규모 역시 33조6000억원으로 3년 6개월 만에 85% 늘어난 상태.

앞선 임원은 “매입확약의 경우 해당 건에 대해 문제 발생시 증권사가 자금을 지불하겠다는 보증의 개념인데 이에 대한 리스크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측면이 있다”며 “회사의 ‘북’을 쓰기 시작한 이후 인센티브율이 다운되고 있지만 관성이 존재하다보니 적정 수준까지 내려왔다고 보기 힘든 부분이 있다”고 했다.

이 부분은 고유자산을 운용하는 PI부서와 비교하더라도 회사 자본을 활용한 수익 창출이라는 점에서 분명 개선될 여지가 있어 보인다는 얘기다. 특히 중소형 증권사의 경우 대형사와의 성과보수 총량을 맞추기 위한 일환으로 그 비중을 의미있게 낮추긴 쉽지 않다. 경영진으로선 경쟁사로부터 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고육지책이지만 당장 내부로부터 불만과 상대적 박탈감이 새어나오는 것도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