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의 한 카페에서 직원이 커피를 내린 일회용품 컵을 옮기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근 원유(原乳) 가격 인상으로 원가 부담이 한층 높아지면서 우유 관련 제품 가격이 연달아 인상됐다. 우유가 들어가는 제품 가격이 오르는 ‘밀크플레이션’이 현실화되면서 소비자들의 물가 부담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 이에 뷰어스는 식품업계의 현 상황과 소비자들의 반응을 살펴봤다. -편집자 주- 원유 가격 인상으로 흰 우유 가격이 일제히 올랐다. 흰 우유 가격 인상으로 커피와 빵, 아이스크림 등 우유를 원재료로 사용하는 제품 가격도 연쇄적으로 상승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은 더욱 커지고 있다. 특히 개인 카페를 중심으로 우유 가격 인상에 따른 불만의 목소리가 고조되고 있다. 우유 가격 인상 외에도 인건비, 원부자재 가격 등이 예년보다 큰 폭으로 증가해 자영업자의 부담이 더 늘어났기 때문이다. 서울 강서구 화곡동 일대에서 개인 카페를 운영하는 A씨는 “기존 우유를 1800원씩 들여왔는데 현재 150원 더 올랐다”며 “우리는 케이크 위주로 판매하는 카페라 우유와 생크림이 필수인데 재료값만 높아져서 큰일”이라고 하소연했다. 서울 강서구 발산동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B씨는 “업체에서 우윳값을 2550원으로 인상해 이 보다 저렴하게 판매하는 곳을 찾고 있다”면서 “우유 가격 뿐만 아니라 인건비도 올라서 부담이 크다”고 전했다. ■ 소비자들 우윳값 인상에 ‘멸균우유’ 찾는다 우유 가격이 뛰면서 소비자들은 일반우유를 대체할 수 있는 멸균우유를 찾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BGF리테일의 편의점 브랜드 CU에 따르면 올해 11월까지 멸균우유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8.4% 올랐다. 이는 같은 기간 흰 우유 전체 매출 신장률(23.7%)보다 2배 가량 높은 수치다. 40대 주부 C씨는 “아침에 일어나면 원두 커피에 우유를 넣어서 먹곤 하는데 최근 우유 가격이 너무 올라 처음으로 멸균우유를 구매해 봤다"며 "일반우유보다 맛은 떨어지지만 이를 대체할 수 있어 앞으로도 가끔 구매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멸균우유는 135~150도에서 균을 사멸해 부패 속도가 느려 1년까지 보관할 수 있다. 일반우유에 비해 신선도와 맛은 떨어질 수 있지만, 주요 영양성분에는 차이가 없다. 현재 인터넷 가격(서울우유 1리터(ℓ) 기준)으로 멸균우유는 ℓ당 1000원대에 구매할 수 있다. 일반우유는 2000원대에 판매되고 있다. ‘대체우유’에 눈길을 돌리는 이들도 있다. 대체우유는 아몬드와 쌀, 귀리 등 다양한 식물성 원료에서 단백질 성분을 추출해 우유처럼 만든 음료다. 유업계는 사업 다각화와 소비자 수요를 맞추기 위해 대체우유를 선보이고 있다. 매일유업과 남양업은 각각 어메이징오트(귀리)와 아몬드데이 등을 출시하고 있다. ■ 정부 “식품물가 안정 위해 관련 업계 가격 인상 자제 요청” 최근 우유 가격 인상에 이은 음료, 커피 등 식품 가격 인상 움직임이 확산되자 정부가 주요 식품업체를 대상으로 가격 인상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9일 한국식품산업협회 회의실에서 김정희 식품산업정책실장 주재로 주요 식품업체 대상 물가안정 간담회를 열어 이 같이 당부했다. CJ제일제당, 대상, 오뚜기, SPC, 롯데제과, 해태제과, 오리온, 농심, 삼양식품, 팔도, 동서식품, 남양유업, 롯데칠성음료 등 13개 주요 식품업체 임원진이 참석했다. 김 실장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둔화되고 있다고는 하지만 높은 식품물가로 인해 소비자들이 이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며 “식품업계가 대체적으로 전년 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하고 영업이익률도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만큼 물가안정을 위한 업계의 협조가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어 “식품업계도 비용 상승분을 가격 인상을 통해 손쉽게 소비자에게 전가하기보다는 경영효율화 등을 통해 인상 요인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며 “식품 물가는 소비자들이 피부로 가장 잘 체감할 수 있는 물가인 만큼 고물가에 기댄 부당한 가격 인상이나 편승 인상을 자제하고 가격 인상이 불가피한 경우에도 인상 폭을 최소화하거나 인상 시기를 분산하는 등 물가안정을 위해 노력해 달라”고 덧붙였다.

[밀크플레이션 본격화] ② 우윳값 인상 ‘후폭풍’…유제품 줄인상에 소비자 부담↑

카페 자영업자 “우윳값 인상에 부담 더 늘어…싼 우유 모색하고 있다”
소비자들 ‘대체재’ 찾아 나서…CU “올해 11월 누적 멸균우유 매출, 전년比 48%↑”
김정희 농식품부 실장 “식품업계, 물가 안정 위해 노력해 달라”

탁지훈 기자 승인 2022.12.18 08:00 | 최종 수정 2022.12.19 09:26 의견 0
서울 시내의 한 카페에서 직원이 커피를 내린 일회용품 컵을 옮기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근 원유(原乳) 가격 인상으로 원가 부담이 한층 높아지면서 우유 관련 제품 가격이 연달아 인상됐다. 우유가 들어가는 제품 가격이 오르는 ‘밀크플레이션’이 현실화되면서 소비자들의 물가 부담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 이에 뷰어스는 식품업계의 현 상황과 소비자들의 반응을 살펴봤다. -편집자 주-

원유 가격 인상으로 흰 우유 가격이 일제히 올랐다. 흰 우유 가격 인상으로 커피와 빵, 아이스크림 등 우유를 원재료로 사용하는 제품 가격도 연쇄적으로 상승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은 더욱 커지고 있다.

특히 개인 카페를 중심으로 우유 가격 인상에 따른 불만의 목소리가 고조되고 있다. 우유 가격 인상 외에도 인건비, 원부자재 가격 등이 예년보다 큰 폭으로 증가해 자영업자의 부담이 더 늘어났기 때문이다.

서울 강서구 화곡동 일대에서 개인 카페를 운영하는 A씨는 “기존 우유를 1800원씩 들여왔는데 현재 150원 더 올랐다”며 “우리는 케이크 위주로 판매하는 카페라 우유와 생크림이 필수인데 재료값만 높아져서 큰일”이라고 하소연했다.

서울 강서구 발산동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B씨는 “업체에서 우윳값을 2550원으로 인상해 이 보다 저렴하게 판매하는 곳을 찾고 있다”면서 “우유 가격 뿐만 아니라 인건비도 올라서 부담이 크다”고 전했다.

■ 소비자들 우윳값 인상에 ‘멸균우유’ 찾는다

우유 가격이 뛰면서 소비자들은 일반우유를 대체할 수 있는 멸균우유를 찾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BGF리테일의 편의점 브랜드 CU에 따르면 올해 11월까지 멸균우유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8.4% 올랐다. 이는 같은 기간 흰 우유 전체 매출 신장률(23.7%)보다 2배 가량 높은 수치다.

40대 주부 C씨는 “아침에 일어나면 원두 커피에 우유를 넣어서 먹곤 하는데 최근 우유 가격이 너무 올라 처음으로 멸균우유를 구매해 봤다"며 "일반우유보다 맛은 떨어지지만 이를 대체할 수 있어 앞으로도 가끔 구매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멸균우유는 135~150도에서 균을 사멸해 부패 속도가 느려 1년까지 보관할 수 있다. 일반우유에 비해 신선도와 맛은 떨어질 수 있지만, 주요 영양성분에는 차이가 없다. 현재 인터넷 가격(서울우유 1리터(ℓ) 기준)으로 멸균우유는 ℓ당 1000원대에 구매할 수 있다. 일반우유는 2000원대에 판매되고 있다.

‘대체우유’에 눈길을 돌리는 이들도 있다. 대체우유는 아몬드와 쌀, 귀리 등 다양한 식물성 원료에서 단백질 성분을 추출해 우유처럼 만든 음료다. 유업계는 사업 다각화와 소비자 수요를 맞추기 위해 대체우유를 선보이고 있다. 매일유업과 남양업은 각각 어메이징오트(귀리)와 아몬드데이 등을 출시하고 있다.

■ 정부 “식품물가 안정 위해 관련 업계 가격 인상 자제 요청”

최근 우유 가격 인상에 이은 음료, 커피 등 식품 가격 인상 움직임이 확산되자 정부가 주요 식품업체를 대상으로 가격 인상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9일 한국식품산업협회 회의실에서 김정희 식품산업정책실장 주재로 주요 식품업체 대상 물가안정 간담회를 열어 이 같이 당부했다. CJ제일제당, 대상, 오뚜기, SPC, 롯데제과, 해태제과, 오리온, 농심, 삼양식품, 팔도, 동서식품, 남양유업, 롯데칠성음료 등 13개 주요 식품업체 임원진이 참석했다.

김 실장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둔화되고 있다고는 하지만 높은 식품물가로 인해 소비자들이 이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며 “식품업계가 대체적으로 전년 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하고 영업이익률도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만큼 물가안정을 위한 업계의 협조가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어 “식품업계도 비용 상승분을 가격 인상을 통해 손쉽게 소비자에게 전가하기보다는 경영효율화 등을 통해 인상 요인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며 “식품 물가는 소비자들이 피부로 가장 잘 체감할 수 있는 물가인 만큼 고물가에 기댄 부당한 가격 인상이나 편승 인상을 자제하고 가격 인상이 불가피한 경우에도 인상 폭을 최소화하거나 인상 시기를 분산하는 등 물가안정을 위해 노력해 달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