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고 유능한 미술 작가를 발굴, 지원하는 송은미술대상은 (재)송은문화재단이 2001년 제정한 상으로 한국의 재능 있는 젊은 미술작가들을 육성하기 위해 매년 공정한 심사를 통해 우수한 수상자를 배출하고있다. 올해 공모에는 예선에 총 251명이 지원했으며 온라인 포트폴리오 심사를 통해 선정된 총 29명의 작가가 신작 1점 출품을 통한 본선 심사를 받았다. 최종 4인으로 선정된 신이피(40), 오종(40), 전현선(32), 조영주(43) 작가는 대상 작가 선정을 위한 20회 송은미술대상 전시에 참여해 내년 1월 최종 심사를 거쳐 수상자를 가린다. 오종_3F B 설치전경 (사진=송은문화재단) 두 번째 후보자인 오종 작가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낚싯줄이나 실과 같은 물리적인 재료로 점, 선, 면의 조형 요소를 이용해 주어진 공간을 작가만의 방식으로 해석하고, 균형감과 긴장감이 공존하는 새로운 공간으로 변모시키는 설치 작업을 진행해왔다. 주요 개인전으로 ‘Sunstone’(사브리나 암라니 갤러리, 마드리드, 2019), ‘Windward’(요한 헴펠 갤러리, 베를린, 2018), ‘주고받는 모서리’(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18)등을 개최했다. 오종의 즉흥적인 설치 과정에서 실, 낚싯줄, 쇠막대와 같은 선적인 매체와 아크릴판과 추 등의 면과 점을 이루는 재료들은 기존 공간에 존재하는 모서리, 창문, 벽과 같은 건축 요소들에 반응하며 주어진 공간에 섬세하게 개입한다. 이러한 재료들은 자세히 살펴보지 않으면 눈에 잘 띄지 않을 정도로 가늘고 연약한 매체들로 구성되었음에도 공간을 강단 있게 구획하고, 중력과 허공 사이에서 팽팽한 긴장감을 생성한다. 오종_Room Drawing(Folding Walls) #1 (detail)_2020 (사진=송은문화재단)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송은아트스페이스의 3층 B공간에 지금까지 진행해 온 ’Room Drawing’시리즈의 연장선상에 있는 ‘Room Drawing(Folding Walls) #1’(2020)를 선보인다. 전시장 가운데에 위치한 목재구조물의 내부공간에서부터 전시장이라는 외부공간까지 확장되는 허공 위의 드로잉은 관람객의 시선에 따라 1차원의 선, 2차원의 면, 3차원의 입체라는 다양한 형태를 보이며, 각자의 위치와 동선에 따라 상대적인 방식으로 공간을 인지하고 체험하는 유일무이한 경험을 선사한다. 오종_Room Drawing(Folding Walls) #1 (detail)_2020 (사진=송은문화재단) 관람객은 빈 공간을 먼저 읽고 한 점에서 시작해 서서히 공간을 완성해 간 작가의 작업과정에 역행하며 전체적인 작품을 먼저 접하고 모서리와 같은 세부적인 부분들을 읽어 나가게 된다. 작가와 관객의 경험, 선과 면, 채움과 비움, 빛과 그림자 등 작업이 품은 수 많은 대립 점들 사이에서 균형을 추구한 결과, 비어있던 공간은 차원을 넘나드는 긴장감으로 가득 차게 된다.

[갤러리에서│제20회 송은미술대상 후보 작가] ②오종, ‘점, 선, 면’을 이용해 공간을 작가만의 방식으로

이동현 기자 승인 2020.12.16 13:06 의견 0

젊고 유능한 미술 작가를 발굴, 지원하는 송은미술대상은 (재)송은문화재단이 2001년 제정한 상으로 한국의 재능 있는 젊은 미술작가들을 육성하기 위해 매년 공정한 심사를 통해 우수한 수상자를 배출하고있다.

올해 공모에는 예선에 총 251명이 지원했으며 온라인 포트폴리오 심사를 통해 선정된 총 29명의 작가가 신작 1점 출품을 통한 본선 심사를 받았다.

최종 4인으로 선정된 신이피(40), 오종(40), 전현선(32), 조영주(43) 작가는 대상 작가 선정을 위한 20회 송은미술대상 전시에 참여해 내년 1월 최종 심사를 거쳐 수상자를 가린다.

오종_3F B 설치전경 (사진=송은문화재단)


두 번째 후보자인 오종 작가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낚싯줄이나 실과 같은 물리적인 재료로 점, 선, 면의 조형 요소를 이용해 주어진 공간을 작가만의 방식으로 해석하고, 균형감과 긴장감이 공존하는 새로운 공간으로 변모시키는 설치 작업을 진행해왔다.

주요 개인전으로 ‘Sunstone’(사브리나 암라니 갤러리, 마드리드, 2019), ‘Windward’(요한 헴펠 갤러리, 베를린, 2018), ‘주고받는 모서리’(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18)등을 개최했다.

오종의 즉흥적인 설치 과정에서 실, 낚싯줄, 쇠막대와 같은 선적인 매체와 아크릴판과 추 등의 면과 점을 이루는 재료들은 기존 공간에 존재하는 모서리, 창문, 벽과 같은 건축 요소들에 반응하며 주어진 공간에 섬세하게 개입한다.

이러한 재료들은 자세히 살펴보지 않으면 눈에 잘 띄지 않을 정도로 가늘고 연약한 매체들로 구성되었음에도 공간을 강단 있게 구획하고, 중력과 허공 사이에서 팽팽한 긴장감을 생성한다.

오종_Room Drawing(Folding Walls) #1 (detail)_2020 (사진=송은문화재단)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송은아트스페이스의 3층 B공간에 지금까지 진행해 온 ’Room Drawing’시리즈의 연장선상에 있는 ‘Room Drawing(Folding Walls) #1’(2020)를 선보인다.

전시장 가운데에 위치한 목재구조물의 내부공간에서부터 전시장이라는 외부공간까지 확장되는 허공 위의 드로잉은 관람객의 시선에 따라 1차원의 선, 2차원의 면, 3차원의 입체라는 다양한 형태를 보이며, 각자의 위치와 동선에 따라 상대적인 방식으로 공간을 인지하고 체험하는 유일무이한 경험을 선사한다.

오종_Room Drawing(Folding Walls) #1 (detail)_2020 (사진=송은문화재단)


관람객은 빈 공간을 먼저 읽고 한 점에서 시작해 서서히 공간을 완성해 간 작가의 작업과정에 역행하며 전체적인 작품을 먼저 접하고 모서리와 같은 세부적인 부분들을 읽어 나가게 된다.

작가와 관객의 경험, 선과 면, 채움과 비움, 빛과 그림자 등 작업이 품은 수 많은 대립 점들 사이에서 균형을 추구한 결과, 비어있던 공간은 차원을 넘나드는 긴장감으로 가득 차게 된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