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아베스틸 관계자가 북미에 수출한 사용후핵연료 운반저장겸용용기 내부에 방사능 차폐를 위해 격자모양의 바스켓을 설치하고 있는 모습 (사진=세아베스틸 제공) 세아베스틸지주가 자동차 산업 호조로 영업이익이 지난해 대비 두 자릿수 증가했다. 세아베스틸지주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1079억원, 영업이익 823억원을 잠정 기록했다고 3일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은 3.9% 하락했지만, 영업이익은 29.6% 늘었다. 세아베스틸지주 관계자는 “기계, 건설 등 수요 산업 전반의 성장 둔화로 매출이 소폭 하락했다”면서도 “주요 자회사인 세아베스틸의 대형 압연 설비 정상화로 인한 가동률 확대와 자동차 산업의 호조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자회사별로 보면, 세아베스틸은 2분기 매출 6278억원, 영업이익 436억원을 잠정 기록했다.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지난해 대비 각각 0.8%, 256.4% 늘었다. 세아베스틸은 “계절적 성수기에도 수요 산업의 성장 둔화로 매출은 지난해보다 소폭 증가하는 수준에 그쳤다”면서 “철 스크랩 등 주요 재료 단가 하락과 생산·판매 활동 안정화로 수익성이 대폭 개선됐다”고 했다. 세아창원특수강은 올 2분기 매출 4385억원, 영업이익 343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각각 15.3%, 31.2% 줄어든 실적이다. 국내외 주요 수요 산업 부진과 판매 단가 인하 등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줄었다고 세아베스틸지주는 설명했다. 향후 전망에 대해서는 “글로벌 제조업 침체와 교역 감소로 경제 저성장 전환, 수요 산업의 전반적 부진 분위기로 주요 제품에 대한 수요 약세가 전망된다”며 “2023년 10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시범 도입 등 각국의 그린 정책과 보호무역주의가 본격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철 스크랩, 니켈 등 주요 재료에 대한 공급망 불안이 지속되고, 유가 상승과 전력비 추가 인상 등에 따른 에너지 비용 가중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대외적인 경기 하방 요인과 조업일수 부족, 전통적인 비수기인 3분기에도 경영 목표 달성을 위해 시황 변화에 따른 시나리오별 탄력적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세아베스틸지주, 2분기 영업익 823억…“자동차산업 호조 덕분”

영업익 전년比 29.6%↑…“세아베스틸, 대형 압연 설비 정상화로 가동률 확대”

손기호 기자 승인 2023.08.03 15:51 의견 0
세아베스틸 관계자가 북미에 수출한 사용후핵연료 운반저장겸용용기 내부에 방사능 차폐를 위해 격자모양의 바스켓을 설치하고 있는 모습 (사진=세아베스틸 제공)


세아베스틸지주가 자동차 산업 호조로 영업이익이 지난해 대비 두 자릿수 증가했다.

세아베스틸지주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1079억원, 영업이익 823억원을 잠정 기록했다고 3일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은 3.9% 하락했지만, 영업이익은 29.6% 늘었다.

세아베스틸지주 관계자는 “기계, 건설 등 수요 산업 전반의 성장 둔화로 매출이 소폭 하락했다”면서도 “주요 자회사인 세아베스틸의 대형 압연 설비 정상화로 인한 가동률 확대와 자동차 산업의 호조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자회사별로 보면, 세아베스틸은 2분기 매출 6278억원, 영업이익 436억원을 잠정 기록했다.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지난해 대비 각각 0.8%, 256.4% 늘었다. 세아베스틸은 “계절적 성수기에도 수요 산업의 성장 둔화로 매출은 지난해보다 소폭 증가하는 수준에 그쳤다”면서 “철 스크랩 등 주요 재료 단가 하락과 생산·판매 활동 안정화로 수익성이 대폭 개선됐다”고 했다.

세아창원특수강은 올 2분기 매출 4385억원, 영업이익 343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각각 15.3%, 31.2% 줄어든 실적이다. 국내외 주요 수요 산업 부진과 판매 단가 인하 등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줄었다고 세아베스틸지주는 설명했다.

향후 전망에 대해서는 “글로벌 제조업 침체와 교역 감소로 경제 저성장 전환, 수요 산업의 전반적 부진 분위기로 주요 제품에 대한 수요 약세가 전망된다”며 “2023년 10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시범 도입 등 각국의 그린 정책과 보호무역주의가 본격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철 스크랩, 니켈 등 주요 재료에 대한 공급망 불안이 지속되고, 유가 상승과 전력비 추가 인상 등에 따른 에너지 비용 가중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대외적인 경기 하방 요인과 조업일수 부족, 전통적인 비수기인 3분기에도 경영 목표 달성을 위해 시황 변화에 따른 시나리오별 탄력적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