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국민지원금 지원에 유통가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사진=이마트24)
정부가 전 국민의 88%에게 1인당 25만원씩 지급하는 상생국민지원금의 지원에 유통가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사용가능한 소비처가 제한돼 있기 때문이다.
국민지원금은 신용·체크카드, 선불카드, 지역 상품권 가운데 선호하는 방식으로 받아 주민등록상 자신이 사는 지역(광역시·도)에서 원하는 곳에 쓰면 된다.
국민지원금은 동네 마트, 식당, 편의점 그리고 주유소와 음식점, 카페, 학원 등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대형마트와 백화점, 온라인몰, 대형전자 판매점, 유흥업종, 골프장, 노래방, 복권방, 면세점 등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영세업자, 소상공인의 어려움을 고려해 일부 업종에 대해서는 사용 제한을 둔 것이다.
프랜차이즈 업종은 약간 복잡하다. 작년 사례를 보면 가맹점(대리점)은 어디서든 거주지역 내에서 쓸 수 있고 직영점은 사용자가 소재지에 사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유통업계에서는 정부의 이같은 방침에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편의점의 경우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분위기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며 대형마트나 백화점보다는 편의점에서 장을 보는 소비자들이 늘어났다.
한국개발연구원이 발간한 '(1차)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편의점 업계는 재난지원금으로 특수 효과를 누렸다.
세븐일레븐에서는 와인과 양주 매출이 각각 17.2%, 12.8% 증가했는데 이는 맥주(8.3%)와 소주·막걸리(4.1%)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GS25에서는 국내산 소고기 매출이 150배나 뛰었다.
이에 따라 상생국민지원금이 지급되면 편의점 장보기 수요가 늘어나 실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에서 편의점을 운영하는 A씨는 “작년처럼 재난지원금 지급 이후 소비자들의 방문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도 재난지원금 지급으로 소비자들이 많이 이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일단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소비자들의 편의점 이용 빈도수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다양한 상품군을 구성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백화점 업계는 정부의 이같은 방침에 예상했다는 의견이지만 한편으로는 아쉬움을 숨기지 못했다. 거리두기 4단계 시행과 더불어 소비자들의 발길이 줄었기 때문이다.
4단계가 처음 도입된 지난달 12일부터 18일까지 현대백화점 전체 매출은 전주보다 16.4% 감소했다. 부문 별 매출은 여성패션이 17.8%, 남성패션 16.9% 줄었고 리빙은 16.0% , 아동부문은 18.4%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백화점은 전체 매출이 14.4% 줄었다. 제품별로는 잡화여성의류가 19.2%, 남성스포츠의류 매출이 4.6% 감소했고 리빙 관련은 15.7%, 해외명품 매출은 18.9% 줄었다.
같은 기간 신세계백화점 전체 매출은 13.7% 감소했고 부문별로는 여성패션이 13.3%, 남성패션이 14.9% 줄었고 명품은 10.4%, 생활 관련 제품 매출은 6.5% 감소했다.
백화점 업계 관계자는 “아쉬운 측면이 있는게 사실이다. 정부의 방침에 기본적으로 따를 수밖에 없다. 업계에서는 온라인 등의 다른 채널을 통한 마케팅을 강화할 방침이다. 소비자마다 편차가 있으므로 이를 고려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