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제공=코빗
업비트와 빗썸을 중심으로 한 국내 가상자산거래소의 양강 체제가 공고한 가운데, 중소 거래소인 코빗이 '법인 고객' 확보로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려고 나섰다. 제휴 은행인 신한은행의 법인 고객 인프라를 바탕으로, 코빗이 오랫동안 쌓아온 전문성과 신뢰도를 신규 고객 확보의 무기로 활용한다는 전략이다.
지난달 코빗(대표 오세진)은 법인 고객 전용 서비스인 '코빗 비즈(korbit biz)'를 정식 출시, 법인 대상 영업을 본격화했다. 이번 서비스는 가상자산 시장에서 법인 고객의 거래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다.
코빗은 향후 법인계좌가 단계적으로 허용되면 수익 구조의 변화로, 중소형 가상자산거래소도 활성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하반기에 발표될 금융당국의 가이드라인에 맞춰 법인 대상 거래 지원 및 영업을 준비한다는 설명이다. 올해부터 새로 시장에 유입되는 법인고객을 통해 그동안의 실적부진을 극복하겠다는 것.
코빗은 '동맹 강화'로 입지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지난달에는 스테이블코인 USDC의 발행사인 서클(Circle)의 ‘얼라이언스 프로그램(Alliance Program)’에 공식 가입해 핀테크 및 전통 금융, 웹3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의 커뮤니티에 입성했다. 서클 얼라이언스 프로그램은 USDC 채택 확대와 온체인 경제 구축 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글로벌 커뮤니티로, 지난 2023년 11월 출범했다.
코빗은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USDC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인프라에 참여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테이블코인 관련 서비스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예정이다.
업계에서 유일무이하게 리서치센터를 보유한 것도 코빗의 강점으로 꼽힌다. 코빗의 리서치센터는 가상자산 시장을 깊이있게 분석하는 인사이트 리포트를 꾸준히 발간하며, 신뢰도를 쌓아왔다. 최근에는 미국 사례를 기반으로 국내 상장법인이 참고할 가상자산 투자 사례를 설명하고, 향후 가상자산을 보유할 가능성이 높은 기업들을 예상하는 등 법인의 가상자산 시장 진출을 돕는 인사이트를 제공하기도 했다.
코빗이 가상자산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보상 체계를 확대해 나가는 것도 눈여겨 볼 지점이다.
지난 1일 코빗은 거래 및 입출금이 자유로운 자동 보상형 스테이킹 서비스 ‘스테이킹 플러스(Staking Plus)’를 지난 1일 정식 오픈하며 고객 혜택을 강화했다.
‘스테이킹 플러스’는 거래소 지갑에 자산을 보유하는 것만으로도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입출금과 거래가 자유로워, 이용자들은 자산 운용의 유연성을 유지하면서도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매주 자동 지급 기능을 추가하여 이용자의 편의성을 한층 강화했다.
해당 서비스는 이더리움, 솔라나, 카르다노, 트론, 폴카닷 등 주요 가상자산을 지원한다. 이더리움의 연 보상률은 최대 1.99%로, 타 거래소의 유사 서비스 대비 두 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한편 국내 가상자산거래소의 수익 양극화는 갈수록키지고 있다.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와 빗썸은 각각 지난해 영업이익 1조1863억원과 1308억원을 달성한 반면, 코인원과 코빗은 각각 지난해 영업손실 61억원, 168억원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