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광약품 본사 전경.사진=부광약품
부광약품이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을 보이고 있다. 3분기 실적과 수익성 모두 흑자 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덴마크 자회사 콘테라파마가 유럽 빅파마와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맺으며 신약개발 제약사로 성장할 수 있는 기술력도 입증했다.
부광약품은 21일 실적 콘퍼런스 콜을 통해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누적 영업이익 60억원을 기록하며 5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누적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1.3% 증가한 1382억원을 기록했다. 3분기만 살펴보면 연결기준 매출액은 478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 대비 12.3% 늘었다. 다만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직전 분기 대비 51.4% 감소한 10억원을 기록했다. 이에 부광약품은 “심포지엄 등 마케팅 비용의 지출이 3분기에 집중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속적인 실적 성장 배경에는 당뇨병성 신경병증 치료제 ‘덱시드’ 및 ‘치옥타시드’와 항정신병 신약 ‘라투다’가 있다. 당뇨병성 신경병증 치료제는 전년 동기 대비 약 8%의 매출 성장을 기록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라투다는 출시 1년만에 누적 1000만정 판매라는 성과를 달성해 시장 내 지배력을 확대하고 있다.
아울러 3분기에는 연구개발 부문의 성과가 두드러졌다. 자회사 콘테라파마의 파킨슨병 환자 대상 아침 무동증 치료제 ‘CP-012’가 임상 1b상에서 긍정적인 톱라인 결과를 확보했다. 이번 임상에서 CP-012의 지연 방출 제형이 야간 부동성과 아침 무동증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함을 확인했고 방출 시점과 체내 흡수 경로를 영상 기반으로 분석해 안정성과 내약성을 입증했다.
또한 콘테라파마는 글로벌 제약사 룬드벡과 의약품 연구개발 협력을 체결했다. 이로써 콘테라파마는 파킨슨병 치료제 개발 이외에 독자적 RNA 개발 플랫폼 기술력을 입증하게 됐으며, 신약 개발 제약사로의 성장 발판을 마련했다. 콘테라파마가 글로벌 제약사와 RNA 치료제 분야에서 협력을 맺은 것은 이번이 최초이며 앞으로 콘테라파마의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신약 파이프라인 확대 및 기술이전 가능성을 현실화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제영 부광약품 대표이사는 “중추신경계(CNS) 사업본부는 동기간 경쟁 시장 성장률인 약 11%를 크게 상회하는 54%의 매출 성장률을 달성하며 회사 성장의 핵심 축으로 성장했다”며 “콘테라파마는 파트너십을 적극 확대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바이오텍으로 도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4분기에는 신규 제품 출시와 기존 출시된 의약품 마케팅 강화로 실적 호조세를 이어나가겠다는 방침이다. 부광약품은 오는 12월 불면증 치료제 ‘서카레딥(성분 멜라토닌)’은 국내 발매를 앞두고 있고, 당뇨병 치료제 ‘부디앙(성분 엠파글리플로진)’은 이달부터 판매가 시작돼 대사질환 치료제 시장 진입이 본격화 되고 있다. 됐다. 마케팅 강화 제품은 ‘라투다’와 ‘레가덱스’다.
김성수 부광약품 부사장은 “라투다는 향후 처방 권고 근거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케팅을 강화할 예정”이라며 ”레가덱스는 종합병원급에서의 처방이 시작됐고 상위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처방 채널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레가론과의 병용 처방 전략도 병행해 시장 내 제품 간 시너지를 극대화할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부광약품은 주주환원 정책으로 분기배당을 결정했다. 이번 배당은 주당 50원, 총 49억3323만원 규모의 현금 배당을 실시한다. 부광약품은 11월 5일을 배당기준일로 정하고 배당금은 11월20일 지급할 예정이다. 이번 배당은 영업활동 등을 통해 창출된 내부 잉여자금을 재원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