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신세계면세점)
신세계면세점이 지난 4월30일부터 5월6일까지 황금연휴 기간 인천공항에서 집계한 국가별 인기 상품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국적에 따라 뚜렷한 소비 패턴 차이가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신세계면세점은 한국, 중국, 일본을 비롯해 베트남, 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7개국 개별관광객(FIT)들이 구매한 상품 수량을 기준으로 상위 품목을 집계해 소비 성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식품과 화장품 분야에서 특히 뚜렷한 선호도 차이가 나타났다.
중국인 관광객은 마스크팩을 가장 많이 구매했으며 ‘토리든 다이브인 저분자 히알루론산 마스크’와 ‘리쥬란 턴오버 마스크’가 대표 인기 제품으로 꼽혔다. 그 외에도 스팸, 딸기 통화이트 초콜릿, 허니버터아몬드가 뒤를 이었다. 마스크팩 중심의 소비 트렌드로 전환되는 흐름이 뚜렷했다. 달콤한 디저트를 선호하는 중국인과 달리, 일본인들은 한국 전통식품인 약과와 다양한 김 제품 외에도 호두과자, 올리브유 등을 구매하며 국산 식품에 대한 관심이 전반적으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김류 중심 구매 패턴에서 벗어나 품목이 다양화됐다.
한국인 고객들은 ‘발렌타인 30년산’ 위스키를 가장 많이 구매했으며 상위 5개 품목 중 프리미엄 위스키가 3종 포함됐다. 특히 ‘발렌타인 30년산’은 황금연휴 기간 동안 인천공항점에서의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약 3배 이상 증가했다. 지난해에는 위스키 외에도 홍삼, 국산 소주 등이 고루 상위권에 올랐으나, 올해는 위스키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동남아 국가들의 경우 K-푸드에 대한 선호가 뚜렷했다. 싱가포르 관광객은 지난해 화장품 위주의 소비에서 올해는 오설록 그린티랑드샤, 스팸 등 식품류 구매가 두드러졌다. 말레이시아 관광객은 허니버터아몬드, 오징어채볶음, 다시다 등 전통 식품 위주로 소비했다. 베트남 관광객은 홍삼과 프리미엄 위스키를 고루 선호했다. 지난해에는 홍삼 젤리와 캔디 등 가공 홍삼 제품이 상위권에 올랐다면 올해는 여기에 ‘시바스 리갈’, ‘발렌타인’ 등의 위스키가 새롭게 포함되며 소비 트렌드가 확장됐다. 태국 역시 ‘리쥬란 턴오버 마스크’에 대한 관심이 높았지만 허니버터아몬드, 스팸, 오설록 말차 등의 식품도 많이 구매했다.
신세계면세점 관계자는 “이번 데이터 분석을 통해 아시아 국가별로 고가 주류, K-푸드, 화장품 등 주요 카테고리에서 소비 성향이 뚜렷하게 갈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중국인 취향 변화, 베트남 프리미엄 주류 선호 등 최신 트렌드를 반영해 국가별 맞춤형 상품 구성과 마케팅 전략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