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열 KT 액세스망연구담당(상무)이 MWC25 현장에서 6G 위성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모습. (사진=KT)
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2030년까지 6G 상용화를 목표로 세웠다. 6G는 5G에 비해 월등한 성능을 지닌 것은 물론, 각종 기기를 동시에 연결하는 '초연결성'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통신업계는 6G를 본격 도입하기에는 한계가 명확하다는 입장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는 오는 2028년 6G 시범서비스를 거친 후, 2030년 본격 상용화를 추진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6G는 최대 대역폭(데이터가 이동할 수 있는 용량) 기준 1Tbps(1000Gbps) 이상의 속도를 목표로 한다. 기존 5G의 최대 속도(20Gbps)에 비해 50배 이상 빠르다. 가장 큰 특징은 현저히 짧은 반응 속도(0.1ms)로, 이는 1제콥킬로미터 당 1000만 대 이상의 기기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는 수준이다.
6G는 이 같은 '초연결성'을 바탕으로 자율주행차, 양자컴퓨터 보안기술 등 미래 기술의 구현에 핵심 역할을 할 전망이다. 특히 위성 네트워크와 지상망을 연계함으로써, 5G의 한계를 넘어 통신이 잘 터지지 않는 지역에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상용화는 넘어야 할 난관도 산적해있다는 평가다. 테라헤르츠(THz) 대역 주파수의 활용 방안, 기존 5G 인프라의 재구축, 고성능 기술 확보 등 각종 기술·정책적 과제가 남아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AI 기술의 도입이 필수적이다. 6G 산업에서 AI는 네트워크 최적화, 트래픽 자율 관리 등 핵심 역할을 담당한다.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제어 기술에 적용돼 각 기지국의 출력을 조절하고, 필요한 곳에 전력을 제공하는 식이다.
이에 통신업계는 본격적인 상용화에 앞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6G 선도 기업에 투자세액공제 혜택을 강화하고, 적정 인프라 구축을 위한 민간 투자 유도, 망 이용대가 제도화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 기존 통신 중심의 비즈니스를 떠나 AI B2B 산업, AI 컨택센터, AI 데이터센터 등으로 방향성이 달라진 것 역시 업계가 6G에 미온적인 이유다. 아직 국내에서 5G 이상의 속도에 대한 수요가 적은 상황에서, 사회적 공감대 형성없이 사업을 전개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통신사들의 인프라 분야 투자도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해 SK텔레콤의 설비투자는 1조 5440억원으로 전년 대비 11.4% 줄었다. KT 역시 같은 기간 4.6%, LG유플러스는 24% 감소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아직 특정 분야를 제외하면 6G에 대한 필요성은 크지 않다"며 "미래를 위해 관련 기술 연구에 나서고 있지만, 상용화를 위해선 정부 차원의 대대적인 협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