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NH투자증권)
금융당국이 NH투자증권 고위 임원이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불공정거래를 일으켰다는 의혹에 대해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이 강조해온 불공정거래 척결을 위해 출범한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의 2호 사건이다.
28일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은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NH투자증권 본사 및 해당 임원의 주거지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합동대응단은 NH투자증권 투자은행(IB)부문 고위 임원이 상장사 공개매수를 주관하는 과정에서 고객사 내부 정보를 이용해 부당이득을 챙긴 것으로 보고 있다.
공개매수란 경영권 확보 등을 목적으로 주식을 확보하고자 하는 일정 기가동안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증권시장 밖에서 주식을 매수하는 것으로 공개매수 가격은 통상 현재 주가보다 높게 책정돼 공개매수 사실 발표시 주가가 상승하는 '호재성 정보'로 인식되고 있다.
혐의자는 본인 및 가족, 가족의 지인, 영업본부 직원 등이다. 해당 임원은 관련 정보를 이들에게 계속, 반복적으로 전달했고 이들이 수년간 총 11개 종목의 미공개 정보를 통해 거둔 부당이득은 총 20억원대로 추정되고 있다.
다만 해당 임원은 이번 혐의와 관련해 사실무근이라며 혐의에 대해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합동대응단은 이번 압수수색을 통해 각종 서류와 PC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해 미공개 정보를 취득한 경로 및 가족과 지인들에게 전파한 내용 등을 확인하겠다는 계획이다.
합동대응단은 "금융회사 및 상장기업 임직원 등 정보의 우위를 지닌 내부자가 자본시장의 공정성을 훼손하는 행위를 철저히 적발해 엄중한 형사처벌과 행정제재로 이어지도록 조치함으로써 주가조작과 동일한 중대범죄행위라는 것을 다시 한번 환기시킬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