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델이'AI 위협메일 차단 서비스'를 소개하는 모습. (사진=KT)

KT(대표 김영섭)는 업무용 종합 포털인 비즈메카EZ에 적용한 '인공지능(AI) 위협메일 차단 서비스'가 중소기업 등 기업간거래(B2B) 시장에서 호응을 얻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AI 위협메일 차단 서비스는 KT의 AI 분석·탐지 기술이 적용된 메일 보안 솔루션이다. KT는 지능적으로 진화하는 신종·변종 이메일 해킹 공격을 사전에 탐지해 접근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고객사가 별도의 장비를 설치하거나 도메인 변경 등 추가 네트워크 설정 없이 이용자당 월 2000원 수준의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과 경제성을 갖췄다.

AI 위협메일 차단 서비스가 실제 차단한 사례를 보면 식료품 회사인 A사는 해커들이 전 직원을 대상으로 비밀번호 만료 메일을 발송해 조작된 사이트로 직원들의 계정 정보를 탈취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또한 화물 운송 업계 B사는 고객의 구매주문 문의처럼 위장한 이메일을 차단했고 전력 장비 제조회사인 C사는 유명 글로벌 운송사를 사칭하는 이메일을 탐지해 개인정보 탈취 시도를 무력화했다.

KT는 비즈메카EZ에서 AI를 기반으로 기록, 인식, 번역 등 기업 업무에 실질적 도움이 되도록 서비스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자체 보유한 AI 기술뿐만 아니라 고객사 업무에 실질적인 효과를 위해 다양한 협력을 기반으로 외부 기술·서비스 협력도 적극적으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비즈메카EZ 이용자의 편리성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서비스 리뉴얼도 준비하고 있다. 고객 중심의 최신 UI/UX 적용과 함께 핵심 업무 기능 중 하나인 PC와 모바일 메신저를 개편해 연내 공개한다.

명제훈 KT Enterprise부문 서비스프로덕트본부장(상무)은 "비즈메카EZ는 올해 그룹웨어 최초로 대한민국 퍼스트 브랜드 대상을 4년 연속으로 수상하는 등 고객들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며 "앞으로도 더 많은 기업이 합리적인 비용으로 비즈메카EZ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고도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