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전경. (사진=현대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이 미국에 최첨단 제조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공식 준공하면서 미국 내 연간 100만대 생산체제를 완성했다.

HMGMA는 현대차그룹이 미국에 건립한 3번째 완성차 공장이다. 이번 공장은 단순한 생산거점을 넘어 전기차 중심의 북미 전략 전환과 양국간 경제 협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그룹은 26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서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의 준공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 버디 카터 연방 하원의원, 앙헬 카브레라 조지아공대 총장, 조현동 주미 대사를 비롯해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장재훈 부회장, 호세 무뇨스 대표이사 사장, 기아 송호성 대표이사 사장, HMGMA 임직원 등 500여 명이 참석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환영사에서 "HMGMA는 혁신적 제조 역량 이상의 더 중요한 가치를 의미한다"며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모빌리티의 미래이며, 바로 이곳에서 그 미래를 함께 열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아날 행사장 입구에는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HMMA), 기아 조지아 공장(KaGA), HMGMA에서 생산 중인 GV70 전동화, EV9, 아이오닉 5가 전시됐다. 또 보스턴다이나믹스의 4족 보행 로봇 스팟(SPOT)이 안내를 돕는 등 현대차그룹의 미국 생산 네트워크와 현지 법인들의 유기적 협력 사례도 소개됐다.

HMGMA는 자동화 제조기술과 지능화, 유연화로 제조혁신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 중심 공장(SDF)이다. 인간 중심적으로 설계된 제조환경 안에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AI-로보틱스-사람을 연결해 유연하고 자유로운 협업으로 미래 모빌리티를 구현하겠다는 현대차그룹의 의지가 담겼다.

HMGMA는 지난 2024년 10월 아이오닉 5 생산을 개시했고, 올해 3월부터는 현대 전동화 플래그십 SUV 모델 아이오닉 9 양산에 돌입했다. 내년에는 기아 모델도 추가로 생산할 예정이며, 향후 제네시스 차량으로 생산 라인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HMGMA 준공으로 현대차그룹은 미국 생산 100만 대 생산체제를 구축하게 됐다. 이는 지난 2005년 앨라배마주에 현대차 공장을 가동하며 현지 생산 도전장을 내민 지 20년만에 이룬 성과다. 추가로 2028년까지 총 86억달러를 투자해 20만대를 증설, 120만대 규모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계열사인 현대모비스, 현대글로비스, 현대제철, 현대트랜시스 등도 부지 내에서 공장을 운영한다. 현대모비스는 연간 30만대 배터리 시스템 및 부품 모듈을 생산 공급한다. 현대모비스 해외 생산거점 가운데 최대 규모다.

현대글로비스는 부지 내 통합물류센터와 출고 전 완성차 관리센터를 운영한다. 자율 비행 드론이 부품 재고 현황을 실시간 파악하고 수요 기반 데이터를 통해 부품 수량을 예측, 적기에 부품을 공급할 수 있다.

현대제철은 부지 내 조지아 스틸 서비스 센터에서 초고강도강 소재의 자동차용 강판을 가공해 공급한다. 현재 연간 자동차 20만대분의 공급이 가능하며, 향후 40만 대분까지 공급 능력을 확충할 계획이다. 현대트랜시스는 자동차 주요 부품인 시트와 이를 지지하는 시트 프레임을 연간 42만대 조달한다.

현대차그룹은 현지 공장의 긍정적인 효과를 극대화해 HMGMA에서 전기차, 하이브리드 등 소비자 지향의 고품질 신차를 공급하고, 미국 시장에서의 성장을 가속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