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지난 4월 29일(현지시간) 포스코퓨처엠과 GM 합작 양극재 생산법인인 캐나다 '얼티엄캠(Ultium CAM)'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포스코홀딩스)
포스코홀딩스가 그룹의 미래 핵심사업인 이차전지소재 경쟁력 확보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포스코홀딩스는 13일 이사회를 열고, 포스코퓨처엠을 비롯한 그룹 내 3개 이차전지소재 계열사 유상증자에 총 9226억 원을 출자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유상증자는 ▲포스코퓨처엠(5256억원)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3280억원) ▲포스코GS에코머티리얼즈(690억 ) 등 세 개사에 이뤄진다.
포스코퓨처엠은 이날 오전 열린 자체 이사회에서 1조1000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의결했으며, 이에 대해 최대주주인 포스코홀딩스는 지분율(59.7%)만큼 전량 참여하기로 했다. 조달 자금은 캐나다 GM과의 합작 양극재 공장 ‘얼티엄캠(Ultium CAM)’을 비롯해 국내 포항·광양 공장의 증설 사업 등에 투입된다.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과 포스코GS에코머티리얼즈도 각각 리튬 정제와 리사이클링을 담당하는 핵심 자회사로, 유상증자를 통해 자본금을 확충하고 중장기적 운영 안정성을 꾀한다.
이번 결정은 전기차 수요 둔화에 따른 일시적 시장 조정기, 이른바 ‘캐즘’ 이후 본격적인 산업 성장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려는 차원이다. 포스코홀딩스는 사업회사들이 추진 중인 양극재 및 음극재 생산설비 확충, 리튬 광석 및 리사이클링 기반 강화 등 주요 투자사업의 완결을 뒷받침하며, 재무 안정성과 사업 추진력을 동시에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유상증자 결정에 앞서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은 지난달 29일 캐나다 퀘벡의 울티엄캠(Ultium CAM) 공사 현장을 찾아 글로벌 사업의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 그는 공정, 품질, 정비뿐 아니라 현지 인력의 근무환경까지 꼼꼼히 살펴보며 “공사 일정과 조업 준비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주문했다.
한편 포스코그룹은 장 회장 취임 이후 철강과 이차전지소재를 양대 축으로 삼는 ‘2 Core + New Engine’ 전략을 강화 중이다. 이차전지소재 분야에서는 공장 조기 가동률 확보, 고객사 인증 확대, 원료 자원 확보 등을 통해 경쟁사 대비 선제적 사업 확대를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