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현대백화점.
최근 폭염과 갑작스러운 스콜성 호우가 반복되는 등 이상 기후가 일상화되면서 백화점 소비 패턴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장마철 대표 아이템으로 꼽히던 레인부츠와 방수재킷 대신 실내 냉방 환경에서도 유용하고 여러 계절에 활용할 수 있는 ‘시즌리스(사계절 구분이 없는)’ 제품이 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현대백화점은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썸트렌드’를 통해 최근 2년간 ‘장마 패션’ 키워드에 대한 SNS 및 온라인 커뮤니티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카디건’과 ‘셔츠’ 언급량이 각각 327.8%, 274.7% 급증했다고 8일 밝혔다.
반면 ‘레인부츠’와 ‘방수재킷’은 각각 19.8%, 9.3% 증가에 그쳤다. 실제 매출에서도 이러한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현대백화점 여름 세일 개시 이후 열흘간(6월27일~7월6일) 매출을 분석한 결과 패션 카테고리는 전년 동기 대비 10.7%, 스포츠·아웃도어 카테고리는 21.1% 증가했다. 이들 상품군에서 카디건·셔츠·바람막이 등 여름 아우터류 매출은 30% 이상 증가하며 전체 신장률을 크게 웃돌았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폭염과 스콜성 호우가 반복되면서 우천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아이템보다는 냉방이 강한 지하철이나 사무실 등 실내외 온도차에 대비해 얇은 겉옷을 찾는 고객들이 늘고 있다”며 “여름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계절에 활용할 수 있는 시즌리스 제품이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트렌드 변화에 패션 브랜드들도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현대백화점그룹 패션 전문기업 한섬도 다양한 기온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제품군 강화에 나섰다. 프리미엄 여성복 브랜드 ‘타임’은 여름철 활용도가 높은 린넨 셔츠 물량을 전년 대비 50% 이상 확대했고 셔츠와 재킷 장점을 결합한 ‘셔켓’ 물량도 2배 가까이 늘렸다. 캐시미어 전문 브랜드 ‘더캐시미어’는 여름 니트 생산량을 약 30% 확대했으며 여성 캐주얼 브랜드 ‘SJSJ’ 여름용 카디건과 니트는 출시 2주 만에 완판되며 시즌리스 제품에 대한 높은 수요를 입증했다.
이 같은 흐름은 뷰티·식품·가전 등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실내 냉방으로 인한 피부 건조로, 겨울철 주력 제품이던 고보습 스킨케어가 여름 시즌에도 주목받으며 관련 제품군은 전년 대비 약 13% 증가했다. 고온다습한 날씨로 인한 모발 곱슬거림 등을 완화해주는 샴푸·트리트먼트·헤어 에센스 제품 등도 20% 이상 증가하며 여름철 필수 뷰티 아이템으로 자리 잡고 있다.
식품 부문에서는 무더위 속 간편하게 건강을 챙기려는 수요가 늘며 조리 부담을 줄인 건강 간편식(HMR)이 주목받고 있다. 삼복더위에 즐겨 먹는 삼계탕·갈비탕·곰탕 등 보양식도 계절 관계없이 찾는 일상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분석이다. 현대백화점 건강 간편식 매출은 지난 두 달간 약 18% 증가했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기후 변화로 계절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고객들 소비 기준도 계절 아이템에서 실용성 중심 시즌리스 아이템으로 바뀌고 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기온 변화와 고객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해 트렌드를 반영한 스타일링을 제안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