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창렬 국무조정실장(가운데)과 김병환 금융위원장(왼쪽)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사진=연합

금융당국이 추진하던 정책들이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새롭게 재편되면서 제4인터넷은행 출범 시기도 안갯속에 휩싸였다. 제4인터넷은행 후보자들은 일단 금융당국이 요구하는 추가 자료를 제출한 데 이어 비공개 설명회를 갖고 새정부 기조에 박자를 맞추고 있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제4인터넷은행에 도전한 소소뱅크, 포도뱅크, 한국소호은행, AMZ뱅크 등 4개 컨소시엄은 오는 11일 금융감독원에서 ▲사업모델 ▲혁신성 ▲금융 취약계층 지원 방안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11월 '인터넷전문은행 신규인가 심사 기준 및 절차'를 발표하고 지난 3월 말 신청을 받은 바 있다.

당초 금융위는 신청서 접수 후 2개월 이내 금감원과 금융위의 심사를 거쳐 올해 중 본인가를 진행할 방침이었지만, 계엄 및 탄핵 등 정치적 여파로 일정에 제동이 걸렸다. 예정대로라면 지난 6월 예비인가를 취득할 예정이던 컨소시엄들은 현재 새 정부에 맞춰 추가 자료를 제출하는 등 일정이 지연되며 예비인가 심사에 머물러 있는 상태다.

금융당국은 이번 금감원 심사와 함께 외부 평가위원회 심사, 금융위 의결을 거쳐 제4인터넷은행 예비인가를 진행할 것이란 입장이다. 서류 보완을 이유로 심사가 지연된 부분이 있지만, 절차에 따라 심사가 진행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금융당국이 예비인가 승인 사업자를 선정하면 본인가가 진행된다. 본인가 심사 결과는 신청후 1개월 이내 이뤄지며, 본인가를 받은 사업자는 6개월 이내 영업개시가 가능하다.

향후 예비인가 승인이 이뤄진다고 해도, 향후 금융조직 개편 및 수장이 변동에 따라 일정은 더 지연될 수 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국토교통부와 문화체육관광부를 제외한 17개 부처 장관 인선을 모두 마무리했지만, 여전히 금융위원장과 금융감독원장의 인선은 오리무중이다. 금융당국 수장들의 인선은 새 정부가 추진 중인 정부조직개편과 맞물려 시기가 더 늦춰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김병환 금융위원장의 유임설도 제기되고 있다. 만약 김 위원장의 유임이 결정된다면, 현재 금융당국의 추진 정책들이 순조롭게 마무리 될 수 있다는 시그널로 풀이될 수 있다.

한편 '소상공인 전문은행'이라는 정체성을 갖고 있는 제4인터넷은행 후보들은 정부와 금융당국의 변화 속에서도 비교적 여유로운 모습이다.

한국소호은행 측 관계자는 "형식적으로는 제4인터넷은행이지만 본질적으로 소상공인 전문은행을 추진해 온 만큼, 정책이 변화된다고 해도 새정부 기조에 부합하는 수준이기 때문에 순조롭게 진행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