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SK텔레콤)
SK텔레콤은 국내 최초로 시내버스에 5G·LTE 통신 기반의 '와이파이 7' 시범 서비스를 제공해 통신 품질을 개선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시범 서비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주관하는 버스공공와이파이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5G·LTE 백홀 기반 '와이파이 7' 장비(AP)를 기존 버스공공와이파이 임차운영 2 차 및 3 차 사업에 적용해 품질을 고도화한다는 목표다.
SK텔레콤은 지난 5월 서울 및 경기 권역의 시내-간선(파랑), 시내-지선(초록), 광역버스(빨강) 등 총 100대를 대상으로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오는 8월 말까지 이를 진행할 예정이다.
SK텔레콤에 따르면 시범 서비스 운영 중간 점검 결과, 최초 설치간 품질 측정 시 다운로드 속도가 평균 1.5배 이상 향상됐다. 와이파이 6·6E 장비를 처음 적용했을 때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429Mbps였으나, 와이파이 7 장비 최초 적용 후에는 노선별 715~1003Mbps를 기록했다.
'와이파이 7'은 기존 '와이파이 6·6E'에 비해 전송 속도가 빠르고 지연시간이 단축된 것이 특징이다. 2.4GHz, 5GHz, 6GHz 등 주파수 대역을 동시 지원해 더 많은 장치가 서로 간섭 없이 빠르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보안 측면에서도 한층 강화된 솔루션이 적용된다. 공공 와이파이 무료 대역에는 'OWE(Open Wireless Encryption)' 기술을 도입해 이용자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SK텔레콤은 이번 시범 서비스를 바탕으로 향후에도 공공와이파이 서비스 고도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김일영 SKT Connectivity사업본부장은 "버스공공와이파이 사업에 5G·LTE의 상용망 기반 '와이파이 7'을 시범 도입해 보다 나은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안정적이고 향상된 통신 서비스 보급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