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걸 KT 서비스프로덕트 본부장이 소액결제 피해 기자 브리핑을 진행하는 모습. (사진=김태현 기자)

국회가 올해 잇따라 발생한 대규모 해킹사태 진상 규명 및 보안관리 현황을 살피기 위해 통신3사 최고경영자(CEO)를 국정감사 증인으로 소환한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는 21일 국회에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등 해킹 관련기관에 대한 국정감사를 실시한다.

증인으로는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김영섭 KT 대표, 홍범식 LG유플러스 대표가 출석할 예정이다.

통신사는 올해 잇따른 해킹 공격으로 수난을 겪었다. SK텔레콤의 대규모 유심 정보 유출 사고에 이어 KT 무단 소액결제 사태가 불거지며 이용자들의 불안이 고조됐다.

먼저 SK텔레콤은 지난 4월 2696만건에 달하는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유심 해킹 사고가 발생했다. 민관합동조사단 조사 결과 SK텔레콤은 계정정보 관리 부실, 주요 정보 암호화 조치 미흡 등을 지적받았다.

KT는 초소형 기지국(펨토셀) 관리부실로 인해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발생했다. 현재 민관합동조사단 조사가 진행 중이다.

해당 사태의 후속 조치로 유심 교체, 위약금 면제 등이 이뤄질지도 주요 관심사다. 앞서 KT는 지난 17일 3차 브리핑에서 불법 소형 기지국(펨토셀) ID가 4개에서 16개 늘어난 20개라고 밝혔다. 또 위약금 면제 여부는 조사단 결과 발표 이후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여기에 KT의 경우 지난해 대표 선임 과정에서 불거진 외압 의혹에 대한 질의도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해 구현모 전 KT 대표가 참고인으로, 당시 사장 후보였던 윤경림 전 최종 사장 후보, 허태원 컴플라이언스추진실장 등이 증인으로 채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