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테크 콘퍼런스 2025'에서 삼성전자 DX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삼성리서치장 전경훈 사장이 환영사를 발표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가 AI 전환 시대를 이끌 핵심 기술 연구 성과를 공유했다.

20일 삼성전자는 '삼성 테크 컨퍼런스 2025(STC2025)'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이번 컨퍼런스의 주제는 ▲AI 에이전트 ▲로봇 AI ▲차세대 보안 ▲통신 등으로, 각 분야의 혁신을 위한 상용화 기술 및 다양한 성과와 비전이 공유됐다.

이날 전경훈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삼성리서치장(사장)은 환영사를 통해 "AI는 이미 단순한 도구가 아닌 일상과 업무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는 핵심 동력으로 자리 잡았다"며 "디지털 전환을 넘어 인공지능 전환이라는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번 컨퍼런스에서 삼성전자가 그간 적용한 AI 사례를 공유하고, AI 방향성에 대해 설명하겠다"면서 "앞으로도 AI 융합을 통해 더 나은 미래와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어가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기조연설에서는 ▲AI 기반 차세대 보안 혁신 ▲지능형 소프트웨어(S/W) 플랫폼의 진화 ▲AI를 활용한 로봇 기술의 도약 ▲오픈소스 AI의 생태계 확장 등 인공지능 전환 시대의 4가지 핵심 기술이 소개됐다.

김상하 삼성리서치 AI프로덕트 팀장. (사진='삼성 테크 컨퍼런스' 라이브 갈무리)

먼저 AI 에이전트 분야에 대한 인사이트가 공유됐다. 김상하 삼성리처시 AI프로덕트 팀장은 "AI 에이전트는 단순 자동화 도구를 넘어 자율적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하는 시스템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맞춰 동적으로 진화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말했다.

김 팀장에 따르면 AI 에이전트는 올해를 기점으로 일상과 업무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 기술 발전으로 글로벌 빅테크들이 보유한 거대 언어모델(LLM)들의 성능이 궤도에 올랐고, 이를 기반으로 한 AI 에이전트 역시 빠르게 진화했다는 설명이다.

다만 아직 해결할 과제도 남아있다. 김 팀장은 "신뢰성과 안정성 외에도 보안 문제, 복잡성, 데이터 연계, 조직 재교육 등이 필요하다"면서 "성공적인 AI 도입은 사람과 프로세스를 AI 에이전트와 어떻게 조화롭게 설계하는지에 달렸다"고 분석했다.

VLA 모델을 적용한 기술 연구를 이어간다. (사진='삼성 테크 컨퍼런스' 라이브 갈무리)

AI를 활용한 로봇기술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권정현 삼성리서치 로봇센터장(상무)은 "AI 로봇기술은 아직 제조업 분야에서만 주로 활용되고 있고, 일상에 적용하려면 보다 정교한 설계가 필요해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한 해결책으로 비전 랭귀지 액션(VLA) 모델을 제시했다. VLA 모델은 조작과정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상호작용을 모두 설계하는 대신, AI 모델이 내재적으로 학습해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기존 로봇 기술이 인식-조작 계획-실행 등 여러 단계를 거쳐야 했다면, 이제는 AI가 직접 데이터를 수집해 학습을 거치고, 이를 통해 데이터에 포함돼 있지 않은 물체에 대해서도 적절한 행동을 취하도록 고도화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권 센터장에 따르면 현재 삼성리서치 로봇센터는 VLA 모델을 로봇에 적용하는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직접 대규모 로봇 동작 데이터를 수집하고, 일상·제조 현장의 복잡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연구 중이다.

이외에도 기술 세션에선 삼성전자 연구원 60명이 나서 통신·헬스케어·보안·스마트싱스(SmartThings) 등 미래산업 전반에 걸쳐 AI 기술을 적용한 최신 연구 성과들을 발표한다.

이들은 생성형 AI를 활용해 업무 생산성을 높인 사례부터 보이스피싱·악성 앱 자동 탐지, 고전영상 고화질 복원, 온디바이스 오디오 지우개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사례를 소개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다양한 기술 성과를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며 개방형 기술 협력과 AI 기술 생태계 확장을 위해 노력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