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내년 R&D 예산이 대폭 늘었다. 예산 규모는 35.3조원으로 전년 대비 19.3% 증가했다. 최근 10년래 최대 상승폭이다. 증권가에선 기업이익 개선에 직접적인 효과를 내는 이번 정부정책에 주목했다. 헬스케어, 소프트웨어, 반도체 등 R&D 지출 비중이 높은 코스닥 기업들 수혜 가능성을 높게 봤다.
신한투자증권은 3일 'R&D 투자 확대에 주목할 때' 보고서를 통해 "첨단 산업에 집중되는 R&D 지원 정책은 중소기업들에 더 유리하다"며 "세액공제의 경우 예산안 대비 기업이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증시 영향력이 클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날 보고서에 따르면 R&D 예산 중점 투자 분야로는 첫째, 기술주도 성장 부문에 인공지능, 에너지, 전략기술, 방산, 중소벤처 분야가 있다. 둘째, 모두의 성장 부문엔 기초연구, 인력양성, 출연기관, 지역성장, 재난안전 분야도 있다. 이들 대부분 분야에서 예산액이 크게 증가했다.
인공지능 예산의 경우 26년 2.3조원(25년 1.1조원)으로 전년 대비 109.1% 증가했다. 26년 세제개편안에서도 첨단산업 R&D 세액공제 분야가 확장됐다. 세제 혜택이 확대된 것인데 국가전략기술에 인공지능이, 신성장/원천기술에 방위산업 분야가 신설됐다. 국가전략, 신성장/원천기술 각각 중소기업은 4~50%, 3~40% 중견 및 대기업은 이보다 10% 낮은 세액 공제율이 적용된다.
이재원 애널리스트는 "세액공제의 경우 기업 이익 개선에 직접적 효과를 드러낸다"면서 R&D 지출 비중 높은 업종을 주목할 것을 권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KOSPI 지출액 대비 무형자산 처리액 비중은 21년 4.8%에서 24년 3.9%까지 떨어졌다. 지출이 비용으로 소진된 비중이 늘어난 것이다. 이 애널리스트는 "기업이 R&D를 진행하더라도 개발 단계까지 이어지지 못하면 이를 비용으로 처리한다"며 "비용 증가로 EPS가 하락할 수 있는데, R&D 예산 확대와 세제 혜택은 이런 부담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고 짚었다.
또한 정부 예산은 기업의 리스크를 분산시켜 R&D 지출을 늘리도록 유도하는 효과도 있다. 세제 혜택은 세액공제를 통해 법인세 부담을 줄여 순이익을 개선하고, 이는 EPS 상승으로 이어진다. 무형자산으로 처리된 R&D 지출은 당기비용을 줄여 EPS 하락을 완화하며, 세액공제 효과는 실제 현금 유출 감소로 이어져 현금흐름을 개선한다.
노동길 애널리스트는 "세액공제는 예산안 대비 기업이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주식시장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크다"며 "정부는 첨단산업 및 중소기업 중심으로 더 큰 세액공제율을 적용, 시총이 큰 코스피보단 코스닥이 해당 정책에서 유리하다"고 진단했다.
코스닥내 매출액 대비 R&D 지출 비중이 높은 세제 혜택 수혜 기대 업종으로는 헬스케어, S/W, 반도체, IT하드웨어, 디스플레이, 미디어 순으로 봤다. 노 애널리스트는 "해당 업종내 영업이익 흑자인 528개 기업 중 중소기업(최근 3년평균 매출액 1500억원 이하)에 해당하는 종목은 385개"라며 "이는 전체 기업의 대다수인 73%에 해당하며, 수혜가 기대될만한 기업들"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