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네이버)
네이버(대표이사 최수연)와 서울대학교병원(원장 김영태)은 28일 서울시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메디컬 AGI(범용의료인공지능) 행사’에서 네이버 이해진 이사회 의장, 최수연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의료 특화 LLM ‘Kmed.ai’를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는 ▲배경훈 과학기술부총리, 이형훈 보건복지부 제2차관 ▲김영태 서울대학교병원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네이버는 서울대학교병원과 협력해 한국어 기반의 의료 특화 LLM(대규모언어모델) ‘Kmed.ai’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해당 모델은 임상 데이터를 이해하고 의료진의 판단을 보조할 것으로 기대되며, 2025년 의사국가고시(KMLE)에서 평균 96.4점이란 높은 점수를 받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 특화 성능, 전문성을 인정받았다.
네이버, 서울대병원이 선보인 의료 특화 LLM ‘Kmed.ai’는 SNUH ClinicalQA를 비롯해 대한민국 의료법, 각종 진료과 가이드라인 등을 학습했다. 또한 실제 서울대병원 의료진의 적극적인 피드백을 통해 한국 의료 산업, 지식, 진료 상황의 맥락을 가장 깊이 이해하는 의료 소버린 AI의 성공 사례로 평가된다.
이와 함께 네이버는 의료 특화 에이전트 플랫폼을 개발해 서울대병원 구성원 누구나 AI의 도움을 받아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고 발표했다. 문서 작성 보조, 진단 보조를 시작으로 고도화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향후 다양한 기능을 추가해 안전성, 정확도를 높여갈 예정이다.
네이버 이해진 의장은 “네이버와 서울대병원이 함께 개발한 의료 특화 LLM이 의료진, 환자, 의료기관 모두에게 가장 안전하고 정확해야 하는 중요한 데이터를 지켜내고, 의료진의 효율성, 환자의 만족도를 높일 것이라고 믿는다”며 “한국의 의료 산업, 진료 상황, 의료법을 가장 깊이 이해하는 의료 소버린 AI의 성공 사례가 되길 기원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