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국내 게임업계 경영진들을 만나 게임 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15일 크래프톤의 게임문화 플랫폼 서울 성동구 ‘펍지 성수’에서 열린 K-게임 현장 간담회에 참석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정욱 넥슨 대표,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 방준혁 넷마블 의장,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 성준호 스마일게이트 대표, 배태근 네오위즈 대표 등 주요 게임사 수장들이 대거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제가 성남에 있을 때도 게임 산업 진흥에 관심도 많이 가지고 정책적으로 지원도 많이 해봤다”며 “당시 정부의 기본적 마인드가 (게임을) 마약과 함께 4대 중독으로 규정을 해서, 지원은커녕 억압정책을 하는 바람에 중국보다 앞서 있다 추월을 당했던게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길게 보면 게임은 문화 산업의 초기 형태인데, 정부 정책과 엇박자를 빗으면서 매우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 것 같다”며 “이제는 정책 방향을 바꾸고,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문화산업 국가로 만들자는게 정부의 생각이고, 문화산업의 중요한 부분이 게임산업이라 생각한다”고 전했다.
또 “게임 과몰입 문제로 국민들이 걱정을 하는 분들이 많다”면서도 “저도 제 동생 만화 가게 가서 잡아오는 일도 있었는데, 지금은 만화 가지고 걱정하는 사람 크게 없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게임은 너무 재미있으니 과몰입이 되는 문제가 있는데, 부작용은 부작용대로 대처해 나가면 될 일”이라며 “억압한다고 해결되지는 않고, 우리가 기회로 만들어야 하지 않나 싶다”고 덧붙였다.
더불어 이 대통령은 게임 산업에 대해 “청년들의 일자리 창출에 매우 크게 도움이 되는 산업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매출과 영업이익이 올라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젊은 직원들, 청년들도 그만큼의 혜택과 지원을 누릴 수 있느냐도 중요하다”고 전했다.
게임산업의 노동시간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노동시간 탄력 이야기를 많이 하는데, 양면이 있다”며 “(회사와 달리) 개발에 참여하는 노동자들은 뒤로는 이러다가 죽겠다는 소리가 나오니 그것도 사실은 걱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고용된 젊은 사람들이 최소한의 인권이 보장되지 않거나, 소모품으로 사용되지 않게 하는 것이 우리의 일”이라며 “이걸 창업자들의 윤리에만 맡길 수는 없다”고 전했다.
더불어 크래프톤의 ‘배틀그라운드(PUBG)’를 언급하며 “작년 한해 매출이 2조원으로 국부 창출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며 “대한민국처럼 자원이 부족한 나라에서는 게임 수출이 진정한 수출”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게임 업계 종사자들에게 “기를 펴고, 대한민국 문화산업의 중추다 생각하고 열심히 해 달라”며 “중독물질 아니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