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기술혁신부문 연구원들이 서초구 KT 우면연구센터에서 '믿:음 2.0'을 테스트하고 있는 모습. (사진=KT)
KT는 '한국적 AI'의 철학을 담아 자체 개발한 언어모델(LLM) '믿:음 2.0'의 오픈소스를 AI 개발자 플랫폼 허깅페이스를 통해 공개할 예정이라고 3일 밝혔다. '한국적 AI'는 한국의 정신과 방식, 지식을 기반으로 구현해 한국에 가장 잘 맞는 AI를 의미한다.
앞서 KT는 지난 2023년 '믿:음 1.0' 버전의 Standard, Premium 2종을 출시한 이래 KT AICC(AI 고객센터), 지니TV, AI 전화, 100번 고객센터 등 다양한 서비스에 폭넓게 활용해 왔다.
이번 '믿:음 2.0' 역시 '한국적 AI'를 구현한 모델로, 한국의 언어·문화·사회 맥락을 반영해 개발됐다. 고품질 한국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됐으며, 저작권 이슈 없이 신뢰성과 완성도를 높였다. 또한 국내외 정책과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전문가들과 함께 만든 'AI 영향 평가 체계'를 적용해 보다 안전하고 투명한 기술을 구현하는 데 주력한다.
이번에 공개되는 모델은 ▲115억 파라미터 규모의 '믿:음 2.0 Base' ▲23억 파라미터 규모의 '믿:음 2.0 Mini'다. 두 모델 모두 한국어와 영어를 지원한다.
'믿:음 2.0 Base'는 범용 서비스에 적합한 모델로 한국 특화 지식과 문서 기반의 질의 응답에서 강력한 성능을 나타낸다. '믿:음 2.0 Mini'는 Base 모델에서 증류한 지식을 학습한 소형 모델이다.
'믿:음' 모델은 한국어와 한국 문화 및 사회 등의 전문 분야에서 기존의 국내외 주요 모델을 상회하는 이해력과 생성 성능을 입증했다. 특히 KT와 고려대학교가 공동 개발한 한국어 AI 역량 평가 지표인 'Ko-Sovereign(코-소버린)' 벤치마크에서 국내 기성 모델을 비롯해 글로벌 최고 수준의 오픈소스 모델을 능가하는 점수를 기록했다.
또 개발 단계에서 리벨리온과 긴밀히 협력하며 국산 AI 반도체에서의 동작을 최적화했고, 프렌들리AI와 함께 사용자가 별도의 설치 과정 없이도 허깅페이스를 통해 무료로 편리하게 체험해볼 수 있는 환경을 한시적으로 제공한다.
KT는 '믿:음 2.0'을 필두로 본격적으로 국내 AI 생태계에 '한국적 AI' 확산 선도에 나선다. 마이크로소프트와의 협업으로 GPT-4에 한국적 사고를 추가 학습시키는 방식의 모델 또한 순차 공개할 예정이다.
신동훈 KT Gen AI Lab장(CAIO)은 "믿:음 2.0은 일반적인 생성 능력을 갖추면서도 한국의 문화와 언어를 깊이 이해하도록 고도화된 AI 모델"이라며 "이는 KT가 국내 사용자들에게 고성능 한국적 AI 모델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한편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게 될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