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스위니 에픽게임즈 대표. (사진=김태현 기자)
팀 스위니 에픽게임즈 대표가 AI(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가치관을 공유했다. AI가 게임의 개발 속도를 높이는 것은 물론, 장기적으로는 고용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에픽게임즈는 25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열린 '언리얼 페스트 서울 2025' 미디어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는 팀 스위니 에픽게임즈 대표, 박성철 에픽게임즈코리아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날 팀 스위니 대표는 "AI는 모든 게임사에게 새로운 기회"라며 "기존에 게임 완성까지 최소 3년이 걸렸다면, 이젠 AI를 활용해 프로그램을 만드는 속도가 빨라지고, 이를 학습시킬수록 보다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특히 AI 캐릭터의 경우 사람과 구분되지 않을 정도로 높은 완성도를 선보일 수 있다"며 "결과적으로 게임의 몰입도를 한층 높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AI가 게임산업의 고용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대기업보다는 소규모 게임사들이 혜택을 볼 가능성이 높고, 산업이 활성화됨에 따라 보다 높은 재미, 콘텐츠 개발을 위한 인력이 늘어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 과정에서 에픽게임즈의 언리얼 엔진이 독보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날 스위니 대표는 앞선 '언리얼페스트 2025' 기조 연설을 통해 차세대 '언리얼 엔진6'의 일부 기능을 소개한 바 있다.
주요 기능으로는 AI가 코드 생성을 돕는 'AI 어시스턴트'를 비롯해 ▲'포트나이트' 생태계 기반 게임 배포 기능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 '벌스(Verse) ▲대규모 콘텐츠 개발·협력에 특화된 최적화 구조 등이 소개됐다.
이 같은 업데이트를 통해 전 세계 파트너사, 유저 크리에이터를 아우르는 개방형 메타버스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내년엔 크로스 플랫폼 서비스 '에픽 온라인 서비스 오버레이'로 스팀·플레이스테이션·엑스박스 전 플랫폼을 아우르는 대규모 소셜 생태계를 선보인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팀 스위니 대표는 "앞으로 게임 산업은 폐쇄적인 환경 속 경쟁이 아니라, 연결된 생태계에서 상호운용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에픽게임즈는 개발자들이 모든 플랫폼에서 보다 개방적으로 게임을 출시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전했다.
'언리얼 페스트 2025'에서 기조연설을 하는 팀 스위니 에픽게임즈 대표. (사진=김태현 기자)
구글·애플의 앱마켓 정책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태도를 유지했다. 그는 "한국에서 앱스토어 독점 규제법이 통과됐음에도, 애플과 구글은 말로는 법을 따르는 척하며 외부 결제업체에 26% 수수료를 부과하는 조치를 취했다. 말도 안 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에픽게임즈는 지난 2020년 애플과 구글의 결제 정책과 30% 수수료에 반발해 반독점 소송을 제기했다. 이후 지난해 구글과의 소송에서 승소,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외부 앱스토어 개방을 허용하는 판결을 이끌어낸 바 있다.
그는 이에 대해 "(구글·애플은) 경쟁자가 앱마켓에 입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공정한 경쟁이 이뤄지고, 그래야 개발자들도 건강한 생태계에서 게임을 출시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에픽게임즈는 이날 개발자 친화적 수수료 정책을 발표했다. 먼저 에픽스토어에 입점한 게임의 경우 매출이 100만 달러 이하라면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는다. 언리얼 엔진 5를 활용한 작품 역시 게임 개발사의 총매출이 100만 달러를 넘지 않으면 라이선스비가 없으며, 초과 시점부터 5% 로열티가 부과된다.
또 신규 PC 게임을 에픽게임즈 스토어에 6개월간 독점 출시하면 해당 기간 동안 수익의 100%를 가져갈 수 있도록 하는 '에픽 퍼스트 런'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