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건설이 개발한 '하자 예방 플랫폼'을 활용해 시공중인 현장 직원에게 주요 하자 유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GS건설)

GS건설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하자 예방 관리로 국토교통부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하심위) 조사에서 최근 1년간 하자판정 '0건'을 기록했다.

21일 GS건설은 자체 개발한 '하자 예방 플랫폼'을 기반으로 축적된 시공 데이터를 활용해 하자 발생 원인을 사전에 분석하고 설계·시공 단계부터 예방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이 플랫폼은 시공 매뉴얼과 공정별 하자 예방 가이드, 주요 사례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현장 직원들이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I 기반 실시간 질의응답 기능도 갖춰 현장 문제를 즉시 해결할 수 있다. 모든 자료를 3D 시각화로 제공해 외국인 근로자도 이해하기 쉽게 설계됐다. 이를 통해 현장 대응력과 품질 관리 효율이 크게 향상됐다.

GS건설은 지난 상반기(2024년 9월~2025년 2월)에 이어 하반기(2025년 3월~8월)에도 하자판정 0건을 기록하며 1년 연속 '하자 제로'를 달성했다.

회사는 AI 기반 품질관리 외에도 입주민과의 신뢰 강화를 위한 소통에도 힘쓰고 있다. '디어 자이안(Dear Xi’an)' 캠페인을 통해 입주 1~2년 차 단지의 공용부 점검 및 보수를 실시하고 있다. '먼저보고 새로고침' 서비스를 통해 조경·커뮤니티시설 등 주요 시설의 선제 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하자 처리 협력사 포상 제도를 운영해 현장 대응 속도와 품질 수준을 높였다. 입주 지정 기간 동안 주말·공휴일에도 운영하는 A/S센터를 통해 입주민 편의성을 강화했다.

GS건설 관계자는 "AI 기술을 활용한 선제적 품질 관리와 고객 중심 밀착 서비스를 통해 입주민의 일상이 특별해지는 '자이(Xi)' 브랜드 철학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