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의 모습. (사진=연합)

오는 6월 대선을 앞두고 각 정당 후보들이 'AI(인공지능) 100조 투자'를 핵심 경제 공약으로 내세웠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모두 대규모 투자를 약속하며 'AI 3대 강국 도약'을 강조하고 있지만, 구체적 실행 방안 및 현실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이재명 후보는 정부 주도의 AI 인프라 구축과 민간 투자 유치를 통해 단기간 내 AI 데이터센터와 'AI 고속도로' 등 물리적 인프라를 확충하겠다는 전략을 내놨다.

또 고성능 GPU 5만 개 확보, 국가 AI 클러스터 조성, '모두의 AI' 프로젝트 등 국민 누구나 AI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 조성도 약속했다.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교육 강화, AI 단과대학 설립, 병역특례 확대 등 인재 양성 방안도 포함됐다.

김문수 후보는 글로벌 기업이 참여하는 민관합동펀드 100조원 조성, 글로벌 AI 융합센터 구축 등 장기적 생태계 조성에 방점을 뒀다. AI 대학원 및 SW중심대학 정원 확대, 해외 우수인재 유치 등 인재 20만명 양성 계획도 내놓았다.

여기에 AI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을 위해 원전 및 소형원전(SMR) 확대 등 에너지 정책과 연계한 점이 특징이다. 규제 혁신, 국가AI위원회 기능 강화 등 행정 개혁도 공약에 포함됐다.

다만 두 후보 모두 실행 방안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아쉬움의 목소리가 나온다. 실제 자금 조달, 민관 협력 구조, 인재 유출 방지 등 실질적 효과를 담보할 세부 계획이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이재명 후보에 구체 재원 조달 방안과 투자 실행 계획이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면, 김문수 후보는 글로벌 기업의 실제 펀드 참여 가능성, 원전 정책의 사회적 합의 부족 등 현실적 한계가 언급되는 모습이다.

아울러 '데이터 규제 완화'에 대한 내용도 없다는 지적도 잇따른다. AI 학습에는 인프라만큼이나 양질의 데이터 제공이 필요한데, 국내 주요 기관들이 공공 데이터 공개를 꺼리는 것은 물론 민간 데이터 또한 개인정보보호법에 얽혀 취급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막상 AI 인프라를 확충해도 이를 제대로 학습시키지 않으면 AI 시대에 걸맞은 기술력을 갖추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밖에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AI 관련 공약을 구체적으로 내놓지 않았지만, 지난 16일 부산을 '데이터센터 수도'로 지정하고 규제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이터 특구 특별법'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특구 내 설립에 필요한 각종 인허가를 단일창구에서 통합 심의 하는 '원스톱 패스트랙' 방식을 도입하고, 규제를 최소화해 글로벌 기업들의 데이터센터 유치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