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압구정2구역 '현대자동차그룹 연계 로보틱스 라이프' 이미지 (사진=현대건설)
현대건설이 국내 최초로 '로봇 친화형 아파트 단지' 조성에 나서며 미래형 주거 모델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100년 주거'를 목표로 추진되는 서울 강남 압구정2구역 재건축 현장에 로봇 기술과 건축이 결합된 '로봇 기반 스마트시티' 모델을 제안하고 본격적인 기술 상용화에 돌입한다.
10일 현대건설에 따르면, 이번 프로젝트는 현대건설 중심 현대자동차그룹 로보틱스랩, 현대로템, 현대위아 등 계열사의 로봇 기술 역량을 결집해 단지 내 입주민의 이동, 안전, 편의, 주차 등 생활 전반을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 이동부터 충전·주차까지… 로봇이 함께하는 단지
현대건설은 단지 설계 단계부터 로봇 운용을 고려한 동선과 시스템을 반영했다. 엘리베이터, 자동문, 통신망 등이 로봇과 연동돼 단지 내 전 구간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하다. 공동현관부터 엘리베이터, 세대 현관까지 완전 무인 이동 경로를 구현한다.
단지 내부에는 현대차·기아의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 셔클 기반의 무인 셔틀이 도입된다. 실시간 수요에 따라 노선과 운행 시간이 조정되는 방식이다. 교통약자 이동 편의성도 높일 수 있다.
입주민의 개인 이동을 돕는 퍼스널 모빌리티 로봇도 눈길을 끈다. 짐을 들고 이동하거나 커뮤니티 시설까지 안내해주는 자율주행 로봇으로 안면인식 기능도 갖춰 배송 안전성도 강화된다.
또한 현대로템이 개발한 무인 소방 로봇은 고온·유해 환경에서도 투입돼 초기 화재 대응에 나서며 입주민의 안전 확보에 기여한다. 전기차 충전 로봇은 충전구 자동 개폐, 케이블 연결·분리, 과열 감지 기능을 갖춰 충전 편의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제공한다.
상가 주차장에는 현대위아의 발렛 주차 로봇이 도입된다. 차량 하부 바퀴를 들어올려 빈 공간으로 이동·주차하는 방식으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효율적인 주차가 가능하다.
■ 업계 첫 '자율주행 로봇 배송' 상용화 성과도
현대건설은 이미 자율주행 배송 로봇 분야에서 상용화를 시작한 바 있다. 지난 8월 준공한 '디에이치 대치 에델루이'에서는 스타트업 모빈과 협력해 실내외 통합 D2D(Door to Door) 배송 서비스를 구현했다.
이 시스템은 단지 입구에서 로봇이 엘리베이터를 타고 세대 현관 앞까지 식음료나 택배를 배송해준다. 입주민들의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건설은 이번 압구정2구역을 시작으로 로봇과 함께하는 미래 주거 모델을 전국 주요 단지로 확산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압구정2구역은 이동·안전·주차·충전 전 분야에서 로봇 기술을 통합적으로 적용한 최초의 주거 단지가 될 것"이라며 "사람과 로봇이 조화를 이루는 미래형 도시 주거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