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SK하이닉스)

SK하이닉스 곽노정 대표이사 사장(CEO)이 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Summit) 2025’에서 ‘풀 스택 AI 메모리 크리에이터(Full Stack AI Memory Creator)’라는 새로운 비전을 발표했다.

이날 기조연설에서 곽 사장은 “지금까지 SK하이닉스는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적시에 공급하는 ‘풀 스택 AI 메모리 프로바이더(Provider)’ 역할을 해왔다”며 “앞으로는 고객이 가진 문제를 함께 해결하며 생태계와 활발히 협업해 고객이 기대하는 것 이상의 가치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공동 설계자(Co-Architect)이자 파트너, 생태계 기여자(Eco-Contributor)로서 풀 스택 AI 메모리를 창조하는 크리에이터가 될 것”이라며 넥스트 AI 시대를 준비하기 위한 의지를 다졌다.

그는 “AI 확산이 가속화되면서 데이터 이동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지원하기 위한 하드웨어 기술 또한 급격히 발전해야 한다”면서 “메모리 성능은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의 발전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AI 성능에서 메모리가 차지하는 중요성이 커지며, 메모리는 단순 부품이 아닌 AI 산업의 ‘핵심 가치 상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전했다. 메모리에 요구되는 성능도 크게 높아져서 기존과 같은 방법으로는 달성이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곽 사장은 SK하이닉스가 새롭게 설정한 지향점은 ‘풀 스택 AI 메모리 크리에이터’라고 강조했다. ‘크리에이터’는 고객의 당면 과제를 함께 고민하고 해결하며, 나아가 생태계와 활발한 협업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것 이상을 제공하겠다는 의미다. 그는 “이를 위해 AI 컴퓨팅의 공동 설계자(Co-Architect)이자 파트너, 생태계 기여자(Eco-Contributor)로서 풀 스택 AI 메모리를 창조하겠다”고 밝혔다.

또 “지금까지의 메모리 설루션이 컴퓨팅 중심으로 통합되었다면, 미래에는 메모리의 역할을 다변화하고 확장해 컴퓨팅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AI 추론 병목을 구조적으로 해결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전했다. 새로운 메모리 설루션에는 SK하이닉스의 Custom(커스텀) HBM, AI DRAM(AI-D), AI NAND(AI-N) 등이 포함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커스텀 HBM은 고객의 요청사항을 반영해 GPU, ASIC에 있었던 일부 기능을 HBM 베이스 다이로 옮긴 제품이다. 이를 통해 GPU, ASIC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HBM과의 통신에 필요한 전력을 줄여 시스템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SK하이닉스는 최적화 관점에서 총소유비용 절감과 운영 효율화를 지원하는 저전력 고성능 D램인 ‘AI-D O(Optimization)’을 준비 중이다. 또 메모리 월(Memory Wall)을 뛰어넘기 위해 초고용량 메모리 및 자유자재로 메모리 할당이 가능한 ‘AI-D B(Breakthrouth)’ 설루션을 개발 중이며, 마지막으로 응용분야 확장 관점에서 로보틱스, 모빌리티, 산업 자동화 같은 분야로 용처를 확장한 ‘AI-D E(Expansion)’을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