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이 개포우성7차에 제안한 '써밋 프라니티'에 세계적 건축가와 협업한 명품 조경 설계를 적용한다. 예술과 자연, 기술이 어우러진 조경 설계로 새로운 주거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개포우성7차에 제안한 '써밋 프라니티'의 지상 공원 예상안. (사진=대우건설)

대우건설은 개포우성7차에 제안한 '써밋 프라니티'를 랜드마크로 만들기 위해 명품 조경 설계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12일 이처럼 밝혔다.

써밋 프라니티의 조경 설계는 루브르 박물관, 엘리제궁, 루이비통 본사 등을 설계한 프랑스 건축가 장 미쉘 빌모트와 바이런(VIRON)이 공동으로 작업했다. 바이런의 디자인 디렉터인 김영민 서울시립대학교 교수는 '서울특별시 조경상 우수상', '서울국제정원박람회 작가정원' 등을 수상한 경력이 있다. 김 교수는 '대지에 새겨진 자연의 결이 도시와 호흡하다'를 컨셉으로 지상 구조물을 최소화하고 필로티 높이를 높여 단지 전체를 하나의 공원처럼 조성하는 설계를 제안했다.

써밋프라니티는 AI 활용한 예술과 미디어의 융합이 눈에 띈다. 조경 시설 중 하나인 '인터랙티브 AI 아트존'은 사람의 행동, 소리, 터치 등 직접적인 움직임을 분석해 매번 다른 미디어 아트를 선보인다. 이는 입주민이 예술의 주체로 나서 AI의 상호작용을 통해 소통하고 경험하는 방식으로 기존 단지 조경과 차별화된 신선함과 재미를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트 플레이그라운드는 아이들의 상상력이 펼쳐지는 놀이 공간으로, 사자 형태의 조형 놀이대가 눈길을 끈다. 단지 인근의 명문 사학인 '중동고등학교' 상징 동물을 모티브로 삼았다. 사자 조형물은 중동고 방향을 바라보도록 설계돼 아이들의 미래를 응원하는 상징성을 담았다.

워터폴 가든은 레스토랑과 맞닿아 있는 선큰 공간에 조형미를 담은 중앙정원으로 수경시설인 동시에 휴게공간이다. 정원에 설치된 벽천은 벽면에 흐르는 물을 이용해 주변 자연 환경과의 조화 수준을 끌어올린다. 정적인 단지에 생명력을 불어넣어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한다.

단지 내 모든 동의 필로티 하부 공간은 '시크릿 필로티 가든'으로 조성된다. 프라이빗 가든, 프라이빗 아웃도어 짐, 웰컴 가든 3가지 테마로 구성돼 각 테마별로 색다른 감상을 선사한다. 프라이빗 가든은 돌의 정원, 숲의 정원, 물의 정원 테마로 이뤄졌다. 해당 동 주민들에게 조용한 휴식 시간을 제공한다. 프라이빗 아웃도어 짐은 반실내형 운동공간으로 가벼운 운동이 가능하다. 웰컴 가든은 단지 출입구에 조성돼 단지와 자연을 부드럽게 이어주는 공간으로 기능한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 그랜드 슬램 독일 iF 디자인 어워드 본상, 미국 IDEA 디자인 어워드 본상, 독일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본상 달성, 대한민국 최고의 디자인상을 수상하는 등 국내외에서 인정받은 대우건설의 뛰어난 디자인 역량으로 조경 미학의 진수를 선보일 것"이라며 "자연을 닮은 '풍경' 속에서 일상의 '품격'이 완성될 수 있도록 지상의 모든 공간이 공원이 되는 특별한 라이프를 조합원께 선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