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상미 유산(사진=아침마당)
추상미 유산(사진=아침마당)

-추상미 유산, 그후에도 

-추상미 유산과 산후우울증, 극복한 방법은?

[뷰어스=나하나 기자] 추상미가 유산이라는 아픔을 고백했다. 

23일 방송된 KBS 1TV '아침마당'에서 "2008년 이후 10년 만의 방송 출연이다. 당시 미니시리즈를 끝으로 방송을 접었었다. 내가 방송을 안하니 잠적설도 있었다"며 말문을 열었다.

추상미는 "활동을 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는 결혼 후 4년 동안 아이가 생기지 않아서였다. 몸을 만들어보자는 생각이었다"며 "2008년부터 아이를 가지려고 몸 관리를 하면서 쉬다가, 2009년도에 임신을 했는데 유산이 됐다. 그 충격이 굉장히 컸다. 충격을 잊는 방법이 공부였다"고 영화 연출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를 말했다.

추상미는 영화 연출은 오래되고 낡은 꿈이었다고 밝혔다. 그는 “마흔이 되기 전에 공부를 시작해야겠다고 생각해 대학원에 들어가 공부를 했다. 단편 영화도 두 편을 만들었다"고 털어놨다.

이어 “다시 임신을 하고 아이를 낳았다. 출산 후에는 산후우울증이 찾아왔다. 아이에 대한 집착과 애착이 악몽으로 나타났다. 내 스스로 심리 분석을 해보니 아버지인 배우 故 추송웅이 내가 열 네 살 때 갑자기 돌아가셨다. 임종도 못 봤다. 그게 무의식에 있었던 것 같다”며 “엄마가 되기 불안한 마음이 있어 복잡한 감정으로 살아왔다”고 덧붙였다. 

이번에 추상미가 선보이는 영화 ‘폴란드로 간 아이들’은 산후우울증에서 추상미를 구해준 작품. 추상미는 “산후우울증이 계속되다가 북한 꽃제비 아이 영상을 우연히 보게 됐다. 거기서 나오는 아이의 감정에 따라가게 됐다. 또 분단 현실이 다가오기 시작했다. 그러다가 전쟁에 대한 소재를 영화로 만들게 됐다”고 설명했다. 

추상미의 남편은 뮤지컬 배우로 유명한 이석준. 추상미는 앞서 이번 영화를 만들면서 남편 이석준의 도움이 컸다고 말한 바 있다. ‘언니네 라디오’에 출연했던 추상미는 “당신이 이 영화를 만들면서 자신이 겪은 일들도 다큐로 만들어야 한다고 하더라. 혼자 1년 넘게 편집을 하니 남편에게 계속 봐달라고 했다. 남편이 모니터링 고문을 당했다고 하더라. 남편이 100번 넘게 봤다”고 말했다. 

이어 “남편은 날카롭게 아주 잘 본다. 굉장히 많은 도움을 준다. 자신이 연극배우고, 어려운 텍스트를 취급하다보니 분석력이 굉장하다. 내가 홍보 때문에 바빠지고 나서부터는 남편이 집안일과 육아를 전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연기자 부부답게 생활도 달랐다. 이석준은 ‘최화정의 파워타임’에 출연했을 당시에 “연기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한다. 결혼 초반에는 굉장히 많이 했는데 서로 얘기를 나누다가 심각해지면서 수위를 조절하고 있다"며 "재미있다 싶으면 공연 관람 회 차가 늘더라”고 말했다. 

이어 “아내가 특이한 게 공연에 들어가면 24시간 연습 모드에 들어간다. 집안 가구가 바뀐다. 저도 상대 역할의 대사를 다 외울 정도다. 상대 배역이 하차하면 제가 할 수 있을 지경이다. ‘내가 왜 공연을 두 개 연습하고 있지' 생각할 때가 있다. 덕분에 연기력이 좋아졌다”며 애정을 자랑했다. 

한편 추상미가 연출한 영화 ‘폴란드로 간 아이들’은 한국전쟁 당시 폴란드로 보내진 고아들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으로 오는 31일 개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