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파인 광안' 투시도. (사진=SK에코플랜트)
매년 오르는 분양가에 실수요자들이 합리적인 대안을 찾아 나서고 있다. 신규 분양을 고집하기보다는 일부 잔여 세대가 남은 단지로 눈길을 돌리는 모습이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전국 민간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당 1945만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4.4% 올랐다. 10년 전인 2015년(863만원)에 비하면 2배 이상 오른 수준이다.
최근 10년간 연평균 7~8%의 상승률을 이어온 가운데 고물가·인건비 상승 등으로 공사비 인상 흐름도 계속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건설공사비지수는 올해 6월 131.07로 전월 대비 소폭 상승했다.
신규 단지들의 분양가도 고공 행진 중이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최근 부산 해운대·남천동 일대 단지의 분양가는 3.3㎡당 4400만~5200만원으로 책정됐다. 수영구 기존 아파트 매매가보다도 평당 1,000만~2000만원 이상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 "분양가 확정된 단지가 유리하다"… 실수요자 흐름 변화
분양가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실수요자들은 이미 분양가 책정이 완료된 단지를 주목하기 시작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7만2624세대였던 전국 미분양 아파트는 6월 기준 6만3000여 세대로 5개월 만에 약 1만 세대 줄었다. 분양가 인상 위험을 회피하며 자금 부담을 줄이려는 판단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흐름은 지방 분양시장에서도 확인된다. 부산 동래구 명륜동의 '동래사적공원 대광로제비앙'은 지난해 6월 분양돼 올해 3월 완판됐다. 이 단지는 지난 7월 동래구에서 신규 분양한 단지보다 3.3㎡당 분양가가 약 200만원 저렴했다.
청주시 서원구 사직동 '힐스테이트 어울림 청주사직'도 1년 만에 완판됐다. 인근에서 신규 분양된 아파트는 평당 50만원 이상 높은 분양가가 형성됐다.
■ 실수요자들이 주목하는 '알짜 잔여세대' 어디에?
부산 수영구 광안동에서는 SK에코플랜트가 '드파인 광안'을 선착순 분양하고 있다. 총 1233세대 규모의 주상복합 단지로 현재 전용 59㎡‧78㎡‧84㎡ 중 일부 세대가 남아 있다. 최근 분양된 해운대·남천동 신축 단지들보다 3.3㎡당 1000만 이상 저렴하다.
계약금 2000만원 정액제, 중도금 무이자, 발코니 무상확장 등 금융·시공 혜택도 제공한다.부산 2호선 광안역까지 도보 2분 거리의 초역세권이며 호암초·수영중·동아중이 인근에 위치한 학세권이기도 하다. 금련산과 황령산 등 녹지공간도 인접해 있다.
울산 남구 야음동에서는 DL이앤씨가 'e편한세상 번영로 리더스포레'의 전용 84㎡ 192세대를 분양 중이다. 도보권 내에 울산도시철도 2호선 트램이 들어설 예정이다. 선암호수공원, 상업·의료시설 등 생활 인프라도 잘 갖춰져 있다. 계약금 지원, 중도금 전액 무이자, 입주 지원금 등 다양한 금융 혜택이 일부 세대에 한해 제공되고 있다.
현대건설은 경북 포항시 북구 양덕동에서 '힐스테이트 환호공원'을 분양하고 있다. 총 2994세대 규모의 대단지로 전용 59~101㎡로 구성돼 있으며 올해 10월 입주 예정이다. 계약금 500만원 정액제, 발코니 확장·중문 무상 제공, 잔금 유예, 특별 계약 축하금 등 여러 혜택이 마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