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부동산 대책이 발표 후 2주간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고가 거래량이 발표 전 2주 간보다 7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월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던 시장이 관망세에 접어들면서 호가가 일부 조정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다만 규제가 적은 지역으로 수요가 몰려 반등세로 돌아설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지난 6월 서울 아파트 시장의 상승세는 강남권을 비롯해 마포·용산·성동 등으로 빠르게 퍼졌다. 14일 직방이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대책 발표 전 2주(6월13~26일) 동안 총 4693건의 거래가 이뤄졌으며 이중 24.3%인 1141건이 최고가 거래였다. 가격이 더 오르기 전에 막차에 탑승해야 한다는 불안심리가 급격한 가격상승과 매수세 증가를 부추겼다.
정부는 과열된 부동산 시장을 진정시키기 위해 6·27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다. 주택담보대출 6억원 제한, 6개월 전입의무,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 금지 등 고강도 규제를 담고있는 대책이 발표되자 시장은 빠르게 얼어붙었다.
6·27 부동산 대책 전후 2주간 최고가 거래량 비교. (자료=직방)
대책 발표 이후 2주간(6월27일~7월10일) 거래량은 1312건으로 72% 감소했다. 이에 따라 최고가 거래량 또한 300건으로 이전에 비해 74% 줄었다.
최고가 거래량 비중 또한 1.4%p 감소해 22.9%에 머물렀다. 최고가 거래는 매수 상승세와 적극적 매입세를 반영한다. 최고가 거래 비중의 감소는 기존의 매수세가 관망세로 전환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6·27 부동산 대책 전후 2주간 지역별 최고가 거래량 비교. (자료=직방)
지역별로 살펴볼 때 최고가 거래는 대책 이전 거래가 많았던 지역일수록 가파른 감소세를 보였다.
성동구는 대책 이전 최고가 거래가 139건으로 가장 많았으나 대책 이후 22건으로 84% 감소했다. 마포구는 137건에서 18건으로 87% 감소, 강동구는 116건에서 80% 감소해 23건을 기록했다.
강남의 경우 강남구는 112건에서 41건으로 줄며 63%, 서초구는 37건에서 9건으로 76%, 송파구는 64건에서 27건으로 58% 감소했다. 강남 3구는 토지거래허가구역에 묶여 있어 부동산 대책 이전 약정된 거래가 대책 이후 차례대로 이뤄지고 있다. 따라서 강남권은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세가 급격해질 가능성이 높다.
대책 발표 이후 2주간의 거래량을 살펴본 결과 부동산 시장은 전반적으로 관망세에 접어든 모습이다. 매수 문의가 줄어들며 거래량이 급격히 줄어들었고 호가도 일부 조정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정부 또한 추가 규제 가능성을 예고하며 이번에야말로 부동산 가격을 안정화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내비쳤다.
그러나 규제 강도가 높은 강남권 등 지역을 피해 서울 외곽 등 규제가 덜한 지역으로 수요가 이동하는 풍선효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가 나온다. 또한 입지나 개발 기대감이 높은 지역은 규제의 충격이 해소되면 다시 반등세로 돌아설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